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정중한날다람쥐151
정중한날다람쥐15122.12.13

자기부상열차는 왜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않는거죠?

자기부상열차에 대한 이슈는 정말 몇십년 전부터 접했지만 아직까지 세계적으로도 상용화된곳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

이미 기술적으로도 완성이 된 것으로 아는데 왜 상용화되고 있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자기 부상열차는 상용화 되었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29043.html

    관련 링크를 첨부드립니다.


  • 자기부상열차는 꽤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지만 아직 보편화되지는 못하였다. 이는 기술개발 및 실용화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으나, 그동안 널리 이용되어 온 기존의 교통수단에 비해 획기적인 변화가 요구되기 때문일 것이다.

    자기부상열차는 대개 국가 프로젝트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전문가들이 장기간 집중적으로 연구개발 및 시험을 수행하여왔기 때문에 기술의 신뢰성 및 첨단성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자기부상열차는 신개념의 수송시스템으로 기존의 철도 시스템과 호환 운행되지 않으며, 아직 본격적인 실용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일본 등 철도 선진국에서는 미래 교통수단으로서 지속적으로 꾸준히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자기부상열차가 개통된 사례가 있다.(세계 2번째 상용화)

    자기부상열차가 활성화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 최근 도시 교통수단으로 도입 논의가 활발한 전차(트램)와의 경쟁이 만만치 않다. 전차는 1㎞당 건설비가 200억~300억원으로 전철 가운데 가장 저렴하고, 노면으로 다니기 때문에 이용이 매우 편리하다. 자기부상열차는 전차보다 건설비가 많이 들고, 장치의 특성상 반드시 고가를 설치해야 한다.

    출처 :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29043.html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자기부상열차는 이미 사용화 되어 전세계 곳곳에 적용되어 잘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인천국제공항이 대표적인 예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