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이름으로 피부 염증 크림, 자주 실비 처리하게 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실비 처리를 자꾸 하게 되면 아이가 어느 순간 커서 보험을 처리할때 부담보가 걸리는 경우가 많다고 해서요. 실제로 피부에 대한 보험 가입시 불이익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피부 염증 크림의 실비 처리를 자주 하면, 보험사에서 해당 질병이나 치료에 대한 보험 청구 빈도를 기록하게 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보험 가입 시 부담보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4세대 실손보험 이후로는 비급여 항목에 대한 보험료 할증 제도가 있어, 과도한 청구 시 보험료가 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보험사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지는 않으므로, 가입 시 보험 약관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보험에는 큰 상관이 없지만,
앞으로 새로운 보험을 가입할때 피부과 치료력이 많다면 가입전 고지의무에 해당되어 보험가입이 거절되거나 부담보가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회사마다 심사결과 부담보 조건이 다릅니다.
전기간 부담보 조건과 표준체로 인수하는 회사도 있어 최근에 부담보없이 가입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치료기간에 다라 다를 수 있음)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당연합니다. 장기간 치료기록으로 남는경우 보험가입에 제약이 생길수 있으니 잘생각해야합니다. 실손보험또한 갱신시 할증이 많이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피부염증크림을 자주 처방받아 구입하여 사용하며 그 비용을 보험청구하게 되면 다른 보험가입할때 피부에대해서 부담보 또는 건강체로 가입이 어려워 질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을 가지고도 보장을 못 받는 경우가 생기지 않기 위해서 실비보험청구를 너무 많이 하지 말라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보험청구를 하게 되면 보험신용정보통합시스템이라고 해서 보험회사가 보험신용정보주체의 보험계약 체결 및 보험금 청구지급 등에 관한 보험신용정보를 조회 관리 및 활용하는 시스템인데요. 여기에 기록이 남게 됩니다. 어떤 이유로, 어떤 병원에서, 어떤 치료를 받았는지 상세한 내용이 전 보험사에서 청구 이력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보험회사에서는 보험신용정보통합시스템에 진료 및 치료를 받은 이력이 청구 내역으로 확인되어서 부담보 혹은 보험료 할증 등 제한이 생길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보험심사를 할 때 의사 소견서, 검사 기록지 등을 보험회사에서 요청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알릴 의무가 없고 건강검진을 받아서 물혹이 생긴 경우에 이에 대한 진료 및 수술 입원 통원 등을 하지 않아 알리지 않았을 때에도 보험신용정보통합시스템에 청구이력에 남아있어서 병력 고지를 하면서 보험료 할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즉 사전고지의무 3개월이내 1년이내 최대 5년 이내에 해당하는 사전고지의무가 아니더라도 청구한 내역이 보험신용정보통합시스템에 남아 있게 되면 보험사에서 유병자로 인식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럴 때에는 내가 가지고 있는 보험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을 받는 것이 필수입니다. 실비 청구는 3년 안에 하면 되기 때문에 보험 점검하고 리모델링 후 청구해도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보험신용정보는 거래종료일로부터 5년간 보관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렸을 때 실비 청구했던 것이 거래가 종료하고 5년간 보관된다고 하니까 이런 점을 고려해서 계약 만료 후에 보험 청구이력이 많다면 5년 후에 보험계약을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