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새들이 무리지어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이유는?

습지 구경을 갔다가 하늘 위로 새들이 무리지어 날아다니는 것을 봤습니다. v자 형태로 해질녁에 하늘을 날았습니다. 왜 그렇게 떼로 날아디니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무리를 지어서 행동하면 얻는 이득이 많기 때문입니다.

    먼저 천적을 만나더라도 그 무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이동 경로를 방해받지 않습니다.

    그리고 움직이는 방향을 스스로 맞추게 되기 때문에 이동할 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리지어 이동할 때 선두를 기준으로v자를 형성하면 뒤쪽에있는 새들에게 공기저항이 덜 발생하기때문에 체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V자로 날아다니게 되면서 비행하는데 있어 서로를 띄워 주며 20~30%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새들의 리더를 쫓아가며 방향을 잡거나 길을 찾는 등 비행이 쉬워지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V자 모양의 구조물은 각 새가 다른 새보다 약간 앞서 날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아 새들이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도 도움이 됩니다.


    국립 공원 관리국에 따르면 선두에 있는 새들이 가장 큰 공기 저항을 받기 때문에 힘이 많이 소비됩니다.


    ​이런 이유로 서로 공정함을 유지하기 위해 새들은 교대로 앞쪽에 있고 피곤할 때마다 뒤쪽으로 움직입니다.

  • 안녕하세요. 진솔한 과학 전문가입니다.

    새들이 V자로 무리지어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이유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리더를 쫓아가면 되기 때문에 비행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어서 입니다.

    리더 격의 큰 날개를 가진 새들이 날개 끝의 위치를 신중히 조절하고 뒤따르는 새들은 약간 옆에서 앞서 가는 새를 따라가며

    상승와류에 맞추어 날개를 펄럭이는 이는데 이는 날갯짓 순서를 앞, 뒤 새가 반대로 함으로써 하강 기류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에너지 손실의 최소화 하기 위한 것입니다.

    출처: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3%88%EB%93%A4%EC%9D%B4-v%EC%9E%90%ED%98%95%EC%9C%BC%EB%A1%9C-%EB%B9%84%ED%96%89%ED%95%98%EB%8A%94-%EC%9D%B4%EC%9C%A0%EB%8A%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