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의 세상은 자본주의 세상이 됐나요?
뭔가 세상이 가면 갈수록 점점 더 자본주의 세상이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돈이 없는 사람과 돈이 많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이 확연히 차이가 나죠. 왜 이렇게 자본주의 세상이 됐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경제가 발달하고 사람들은 자본을 통해 더 많은 이익을 추구하게 되었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자본의 중요성이 커졌어요. 자본이 많을수록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구조가 된 거같아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왜 우리의 세상이 자본주의 세상이 되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역사적으로 보면 공산주의도 있었고 자본주의도 있었지만
거의 자본주의국가들만 남은 것을 보면
결국 자본주의가 그래도 가장 인류가 원하는 제도에 가까운 제도라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자본주의 체제와 러시아의 사회주의 체제가 서로 맞붙었고 편이 갈렸습니다
동독 서독이 나뉜 이유도 이런 체제의 차이 때문에 나뉜 것입니다
그 뒤로 자본주의 체제에 있는 국가들의 성장율이 더 높았고 더 잘살게 되었기 때문에
더 우월한 체제로 대세가 된 것입니다
물론 완벽한 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부작용으로 말씀하신 빈부격차가 생기게 되었지만
이는 정부가 개입하여 시장실패를 개선하는 방법이 적용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회주의와 같은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이상적이나 사람의 근로의욕을
상당히 떨어뜨리는 등 이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자본주의가 부작용은 있지만 긍정적인 부분이 더 크기에 우리 사회에
적용되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세상이 자본주의로 변한 이유는 산업혁명과 관련이 큽니다. 산업혁명 이후, 공장과 기업들이 발전하면서 생산성이 높아졌고 사람들이 더 많은 물건을 사고팔 수 있는 시장이 필요해졌습니다.
자본주의는 개인의 이익 추구를 바탕으로 경제를 발전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이 시스템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특성상 부의 불균형이 생길 수 있어 돈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 사이에 차이가 커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소 그 차이로 인해 차별이 존재해야 사람이라는 존재는 더 높은 곳을 향해 열심히 살게 되고 그런사회가 유지되야 모든 부분이 발전할 수가 있습니다. 모두가 똑같이 돈을 받는다면 그 누구도 열심히 일하지 않을 겁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1800년대 후반 이후 기존 절대왕정 내지 권력에 따른 신분주의 시대가 쇠퇴하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대립이 커졌습니다.
이념간 대결 결과 사회 발전 및 성장에 있어 자본주의가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이로 인한 폐해를 최소화하고자 정부의 사회부조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학적, 경제학적, 철학적으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복잡한 주제이지만 아무래도 자본주의가 경쟁을 극대화해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체제인 것이라 그런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