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장보험료와 적립보험료가 무었인가요?
안녕하세요 의료실비 갱신안내서에 보면 보장보험료와 적립보험료로 구성되어있고 적립보험료에 또 적립대체보험료(갱신특약보험료)가 있는데 각각의 보험료가 무슨의미 인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미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보험료란
보험의 보장을 받기 위해 내야하는 돈
적립보험료란
보험의 보장과는 전혀 상관없이 저축형으로 내야 하는 돈입니다.
말그대로 적립을 해놓았다가 만기가 되는 시점에 돌려받게 됩니다. 하지만 사업비의 일부가 빠져나가기때문에 실질적으로 100%적립이 된다고 볼순없습니다. 적립보험료의 또 다른기능으로는 갱신되는 특약의 보험료를 대체해서 대체납입하기도 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적립보험료를 삭제하셔서 보장보험료로만 구성해서 보험을 유지하시는방법도 있다는점 알려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보험잘봄~ 한석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보험료 = 순수하게 보장을 위해서 사용되는 돈
적립보험료 = 보장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쌓아 놓는 돈
적립대체보험료 = 보험이 갱신됨에 따라 보험료가 비싸질 경우 적립보험료에서 일부를 보장보험료로 사용 하는 것.
입니다.
즉 진짜 보장만을 위해서는 5만원이 필요한데
적립보험료가 5만원이 있는 경우,
총 보험료는 10만원이고, 이중에서 5만원은 보장 보험료로 나가고 5만원은 계속 적립됩니다.
만약 1년을 이렇게 납입했다면 적립금은 대략 60만원정도 될 것입니다(이자도 붙음)
그런데 1년 갱신인 보험이기에 이후에는 보장을 위해서는 7만원이 필요하게 되고,
이때부터는 7만원을 보장보험료로, 3만원을 적립보험료로 쓰게 됩니다.
어느순간 갱신되서 보장을 위한 돈이 15만원이 됐다고 한다면,
그동안 적립된 돈에서 꾸준하게 5만원씩 채워나가다가
어느순간 적립보험료를 다 쓰게 된다면 15만원씩으로 월 보험료가 늘어납니다.
실제 계산은 조금 더 복잡하지만 간단하게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보험료는 실질적으로 보장받기위한 금액.
적립보험료는 적립되서 해지시 받게되는 해지환급금.
적립대체보험료는 갱신보험이 나중에 갱신시 보험료가 올라가는데 이를 미리 납입해서 올라간 보험료를 내주는 부분 입니다.
안녕하세요. 황명희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보험료는 보험 계약에 따라 보장을 받기 위해 납입하는 보험료입니다.
보장보험료는 저축성이 없고, 보험 계약이 만기되면 소멸됩니다.
적립보험료는 보험 계약의 만기나 해약시 보험회사가 계약자에게 돌려주기 위해 필요한 보험료입니다.
적립보험료는 저축성이 있고, 보험 계약이 만기되거나 해지되면 계약자에게 환급됩니다.
적립대체보험료는 갱신형 보험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적립보험료의 일부를 갱신시 인상된 보장보험료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험료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다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성보험료는 실제로 내가 보장받는 주계약과 특약에 대한 보험료 입니다.
실질적인 보험료라고 생각하시면 되구요.
손해보험의 경우 보통 보장성보험료 + 적립보험료 = 실납입보험료 가 됩니다.
적립보험료란 말그대로 적립이 되는 보험료인데 어떻게 설명듣고 가입하셧냐에 따라
손해를 보실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저축성으로 듣고 가입하셧다고 한다면 맞지 않습니다.
만기시 환급금이 100%가 안되기 때문이죠~
적립대체보험료는 보험상품이 갱신형일 경우 갱신시점에 인상되는 보험료를 적립보험료를
납부하셧기때문에 쌓여있는 적립보험료로 대체납입을 하기때문에 보험료 인상에 대한 부담이
줄겠죠~~
결론은 그냥 지금이라도 빼는게 좋습니다.
보험상품은 변경배서 즉 변경이 가능합니다. 특약을 추가는 안되지만 빼는건 가능하죠
유지기간이나 상품별로 차이가 있습니다만 뺄수 있으면 빼서 환급받으시는게 좋습니다.
환급금 100%가 안될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김용진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보험료는 보험의 효력을 받기 위한 보험료이구요
적립보험료는 보험료가 갱신될 때 상승하는 비용을
미리 지불하는 개념이라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