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세심한황조롱이89
세심한황조롱이8923.09.03

썰물, 밀물은 어떻게 해서 생겨나는 것인 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서해에 가보면 썰물과 밀물이 상당히 눈에띄게 잘 일어납니다.

이 썰물과 밀물이 발생하는 과학적인 원리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썰물과 밀물은 해양 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주로 달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달과 지구 사이의 인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고 인력이 작용하여 바닷물을 이리저리 밀고 당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썰물과 밀물은 지구의 조석 힘과 달의 중력에 의한 현상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조석 현상은 만, 해안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썰물과 밀물의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1. 조석 힘: 지구의 조석 힘은 지구의 자전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하는데, 이로 인해 지구 표면은 회전하는 지점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이 때, 표면의 중심 부근에서는 중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표면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집니다. 이렇게 지구의 중력이 표면에서 지표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변하는 현상을 조석 힘(Gravitational Force of Attraction)이라고 합니다.

    2. 달의 중력: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지구에 중력을 가합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조석 힘과 함께 작용하며, 이를 통해 조석 힘의 크기가 변화하게 됩니다.

    3. 썰물과 밀물: 달이 지구와 일정한 주기로 지구 주위를 돌면서, 달의 중력이 지구의 조석 힘에 영향을 미치면서 바다 수면에 끌어당기거나 미는 힘이 변합니다. 이로 인해 바다 수면이 일정 주기로 상승하고 하강하게 되는데, 이것이 썰물(Tide)과 밀물(Flood Tide)입니다. 썰물은 바다 수면이 하강하는 현상을, 밀물은 바다 수면이 상승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썰물과 밀물은 지구의 조석 힘과 달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 주기는 대략 12시간 25분 정도로 반복됩니다. 이러한 조석 힘과 달의 중력에 의한 현상은 지구의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지만, 바다와 해안 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썰물과 밀물은 해수와 달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중력은 조절되는데,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그 중력이 높아져서 해수를 당기게 됩니다. 이는 밀물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반대로, 달이 지구와 멀어지면 중력이 약해져서 해수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썰물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또한, 썰물과 밀물은 지구의 자전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지구는 24시간 동안 자전하므로, 해안선은 지구의 자전에 따라 움직입니다. 이 때문에 썰물과 밀물의 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매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면이 높아져 해안의 바닷물이 육지 쪽으로 들어오는 것을 '밀물', 반대로 해수면이 낮아져 바닷물이 바다 쪽으로 빠지는 것을 '썰물'이라고 한다. 이러한 밀물과 썰물 현상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원인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인 '인력'이 지구와 달 사이에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달이 지구 둘레를 회전할 때 달과 가깝게 있는 곳의 바닷물이 달 쪽으로 쏠리면서 밀물(만조)이 발생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썰물(간조)이 발생한다.

    이때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달과 가장 먼 부분에서도 밀물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밀물과 썰물은 지구가 24시간에 한 번씩 자전을 하기 때문에 6시간마다 번갈아 일어나게 된다.


    우리나라 경기도 서해안에 있는 제부도는 섬이지만 드물게도 다리가 아닌 일반 도로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그 도로는 시간에 따라 바닷물 속에 잠겨 있기도 하고 물 밖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따라서 제부도에 들어가려면 미리 물이 빠지는 시간을 알아두어야 한다.

    이렇게 모세의 기적처럼 바다를 갈라 땅이 나타나게 하고, 땅이었던 곳을 어느새 바닷물로 가득 채워 버리는 현상은 밀물과 썰물이라는 바다의 운동으로 생긴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세계적으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큰 곳으로 유명하다. 밀물과 썰물에 의한 해수면의 높낮이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서해안에서는 해수욕을 할 때, 갯벌에서 조개를 캐거나 낙지를 잡을 때, 배가 입출항을 할 때에 소위 '물때'라고 부르는 밀물과 썰물의 시간을 미리 알아두어야 한다.


  • 네, 썰물과 밀물은 지구의 조력과 수댕이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해수에서 일어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발생합니다.

    1. 달과 태양의 영향: 달과 태양의 중력이 지구와 해수에 작용합니다. 달의 중력은 특히 크게 작용하는데, 달이 지나가면 달의 중력에 의해 바다 수면이 높아지는데 이것이 썰물입니다.

    2. 달과 태양의 상대적 위치: 썰물과 밀물은 달과 태양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발생 시간과 강도가 달라집니다. 만약 달과 태양이 지구의 동일한 방향에 있을 때(만월 또는 음영) 그들의 중력이 결합되어 가장 높은 썰물을 만들어냅니다. 이를 대조적으로 달과 태양이 90도 각도로 배치되면 그들의 중력 힘이 상쇄되어 밀물이 일어나게 됩니다.

    3. 지구의 자전: 지구의 자전은 24시간 동안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바다도 같은 속도로 회전합니다. 이로 인해 바다의 물은 등고선처럼 바뀌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썰물 및 밀물과 관련이 있습니다.

    썰물과 밀물은 복잡한 중력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조금씩 다른 변화와 조건에 따라 다른 강도와 주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수문학과 천문학 등의 연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지구의 자연 현상 중 하나로 과학적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3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해양 조수에 따라 바다 수면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중력과 달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주요한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중력: 지구와 달 사이에는 서로를 끌어당기는 중력이 작용합니다. 이 중력은 두 천체 간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며, 특히 달의 중력이 가장 큽니다. 이러한 중력은 바다물을 당기고, 그 결과로 바다 수면의 높이가 변화하게 됩니다.

    2. 조수: 조수는 지구와 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만유인력과 운동 관성에 의해 발생하는 힘입니다. 조수는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며, 하루 동안 대략 2회 발생합니다.

    조수가 가장 큰 때에는 해양 수면이 상승하여 밀물(만조)이 되고, 조수가 가장 작을 때에는 해양 수면이 하강하여 썰물(간조)이 됩니다.

    달과 태양의 위치와 시간에 따라 밀물과 썰물 시간은 변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월(최근 월식) 기간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비슷해지므로 조수 차가 커져 밀물과 썰물 차도 커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썰물과 밀물은 달과 태양의 인력과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달은 지구를 공전하면서 지구를 당기는 힘을 가합니다. 이 힘은 달이 가까운 쪽은 더 크게 작용하고, 달에서 먼 쪽은 작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달이 가까운 쪽은 부풀어 오르고, 달에서 먼 쪽은 움푹 들어갑니다. 이때, 달이 가까운 쪽이 밀물이 되고, 달에서 먼 쪽이 썰물이 됩니다. 태양도 지구를 당기는 힘을 가하지만, 달의 인력보다 약합니다. 따라서 태양의 인력은 밀물과 썰물에 미치는 영향은 달의 인력에 비해 작습니다.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합니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바닷물도 함께 자전합니다. 이때, 달이 지구의 반대편에 있을 때는 달의 인력과 지구의 자전력이 합쳐져서 밀물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달이 지구와 일직선상에 있을 때는 달의 인력과 지구의 자전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썰물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