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건강한솔개154
건강한솔개15423.08.17

강아지 페성고혈압약 심장약 부작용

나이
13
성별
수컷
몸무게
10
반려동물 종류
강아지
품종
스피츠
중성화 수술
없음

강아지 폐성고혈압약과심장약 그리고 그외에 기관지협착증이라서 기침억제제 거담제 항생제 등등 조제해서 같이 아침저녁 먹이라는데 몇번먹이니까 애가 무슨축 늘어져서 더 안좋아집니다. 중단했다가 다시 먹여봐도 같아요 차라리 안먹이면 괜찮아서 자기 밥도잘먹어요.갑자기 없던 다리 왼쪽만부종이 생겨서 코끼리다리가됬어요. 신장까지 좋지않다해서 신장쪽약 영양제 보조제 먹이는데.애한테 할짓인가싶어요. 더안좋아지고있어요 이상태로 이 약을 먹여도될까요 병원비에 약값에 내새끼라 생각하고 아깝지않다고 생각하고 최선을 다한다고 생각했는데 .. 더힘들게하는거같아서 여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안타깝게도 강아지가 여러 부분이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약 저 약 다 먹으니까 부작용이 올 수밖에 없지요 신장도 이제 문제가 되어서 다리가 퉁퉁 부을 정도로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약을 더 먹였다가는 더 빨리 사고가 날 것 같습니다 일단 약을 어느 정도 정리를 하고 꼭 필요한 약만 먹여 주시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다리 부종의 경우 폐성고혈압이나 심장질환 (또는 기능저하 등)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처방된 약에는 부종을 일으킬만한 약제는 없어보입니다.

    해당 부분에 대하여 주치의 선생님과 면밀히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강아지의 나이가 있고, 또 다른 장기기능의 저하 (신장,간 등) 동반된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강아지의 예후 평가와, 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해서는

    강아지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17

    안녕하세요. 박예신 수의사입니다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약을 처방받고 먹여 보고 있는데 차라리 먹인 약 때문에 더 힘들어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는 약을 끊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만 먹여 보시기 바랍니다 다리가 퉁퉁 부었다고 하는 것은 신장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일단 신장 약만 먹이고 증세가 완화된 후에 다른 약도 추가로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보통 폐성고혈압이나 신부전과 같은 중증 질환이 있는 경우 보호자들은 원하지 않던 그날이 오면 둘중 하나를 반드시 후회하게 됩니다.

    1. 힘들게 하지 말고 좋아하는것만 하게 하고 보내줄껄 그랬어.

    2. 끝까지 살려내기 위해 뭐든 해줄껄 그랬어

    즉, 어떤 선택을 하시건 보호자분은 후회를 하시고 수의사를 포함한 주변 모두를 원망하시게 될겁니다.

    물론 그나마 자책보다는 원망이 더 낫습니다.

    개인적으로 권하는 선택의 기준은 그날 이후의 보호자분의 마음입니다.

    치료를 계속해서 생기는 후회와

    치료를 그만해서 생기는 후회

    둘 중에 어떤 것을 감당하실 수 있으실지 본인의 마음에 잘 물어보시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결국 그날이 오게 되면 떠나간 친구를 기억하고 간직해야 하는 것은 온전히 보호자분입니다.

    보호자분 안에 아이를 위해 만들어진 그릇이 건강하고 깨끗할 수 있는 방향의 선택을 하시는게 옳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약물 부작용일 수 있습니다. 폐성고혈압에 사용되는 폐동맥 확장제는 실데나필, 타달라필, 아미오다론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약물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고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구토, 설사, 식욕부진, 두통, 어지러움, 안면홍조, 저혈압, 비정상적인 맥박 등 많은 부작용이 있습니다. 부종이 생긴 이유는 가뜩이나 신장이 안좋은 친구라 체내 수분이 잘빠져나가지 않은 상태에서 추가로 약물로 인한 혈관 확장으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너무 많은 약들이 혼재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요. 정확한 진단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는 모르겠으나, 병원측에 강아지 부작용에 대해 말씀드려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