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4.16

코로나 일일확진자수는 줄어드는데 위중증환자는 왜 줄어들지않나요??

나이
29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안녕하세요.

최근 대한민국 코로나 일일확진자수는 줄어드는데 왜 위중증환자는 줄어들지가 않나요?

그러면 전파력은 감소했는데 치명률이 올라간것으로 생각해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893명으로 전날(913명)보다 20명 감소하며 800명대까지 떨어졌다. 위중증 환자 수는 3월 31일 1315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기 시작해 4월 14일부터 17일까지까지 나흘 연속 세자릿수를 기록하며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4.18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위중증환자는 보건 시스템의 역량을 넘어서 대략 1000여명이 감당 가능한 위중증 환자수이고 이보다 환자가 늘어나면 사망자가 증가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의료시스템 과부하라고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일일 확진자수와 위중증 환자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감염자수에 위중증으로 진행가능성이 높은 사람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중증환자의 증가세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감염자 수가 줄더라도 이미 중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갑자기 호전되거나 사망하지 않는 한 위중증환자는 시간이 지나도 일정 시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이전보다 확진자 숫자는 줄어들었지만 그 중 치명률은 상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위중증환자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치명률은 사망수를 따집니다.

    단순히 위중증환자가 많다고 치명률이 올라간것으로 판단하면 안됩니다.

    전파력 감소보다는 걸릴 인구수만큼 걸렸다고 보고 검사를 안하는 수도 생각해야합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에 새롭게 확진되는 환자의 수가 줄어든다고 하여 중증 감염자수가 줄어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가지를 비례적으로 연관하여서는 안 됩니다. 중증 감염자들은 회복이 되는 것까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신규 확진자처럼 쉽게쉽게 감소되지 않습니다. 전염력이 줄어들고 치명률이 상승한 것으로 생각할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코로나 확진 이후에 3-4일차에 증상이 심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확진자 추이와 중증 추이가 다소 기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현재 확진자도 감소 추세이므로 이에 따라 중증환자도 점점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중증도로 진행이 되는 환자들이 경우에 대부분 고령층인 경우가 많습니다.

    위중증자의 경우에는 감염이 된후에 오랜시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누적이 되면서 점차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일일확진자 수가 줄어들지만

    그게 줄어드는게 아닐수도 있습니다.

    위중증 환자의 경우 고령자들에서 주로 나타납니다만,

    위중증의 경우 치료를 요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코로나 일일확진자수는 줄어들고 있고 위중증환자도 현재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치명률이 올라갔다기 보다는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환자가 감염에 취약하기어 나타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면역력저하 환자나 어르신이 감염되는 경우 중증으로 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중증률을 판단하는 병상가동률 또한 현재 조금씩 감소하고 있습니다. 중증률이 높아졌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위중증환자는 한번 병원에 입원하면 오랜기간동안 입원을 하기때문에 확진자가 줄어든다고 바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아마 몇일 지나면 조금씩 떨어질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개인의 면역력과 기저질환 등에 따라 감염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위중증 환자의 수를 예측하기가 힘든 상황이며, 전파력 및 치명률만으로 위중증 환자를 완벽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위증증 환자도 느리기는 하지만 줄어들고 있습니다. 치명률과 전파력에는 변화가 없다고 봐야하지요. 아무래도 건강한 사람들은 이미 걸려서 추가 감염이 없다보니 착시처럼 나타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

    위중증환자는 한번 발생시 최소 2~3주 이상 집중치료를 필요로하는 환자를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확진자수가 줄어든다고 위중증환자가 함께 바로 줄어들진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일일확진자 수가 준다고 하더라도 위중증환자가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것은 아닙니다.

    반영에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