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3.01.02

블루투스라는 것이 어떤 과학적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과거는 블루투스를 많이 사용을 안했는데 현재에는 꼭 필요한 것이 블루투스이잖아요.

무선 이어폰 연결이나 무선으로 된 것들은 대부분 다 블루투스 사용인데 이 블루투스가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 대역을 사용한다.

    여러 시스템들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간 전파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취한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데이터)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이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한다.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 간에 동기화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되는데, 마스터 기기가 생성하는 주파수 호핑에 슬레이브 기기를 동기화시키지 못하면 두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의 전파 간섭을 피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는 최대 7대의 슬레이브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간 통신만 가능할 뿐 슬레이브 기기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서로 역할을 바꿀 수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블루투스 [Bluetooth] -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용어로 보는 IT, 서동민, IT 동아)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루투스란 근거리 무선 기술(10M이내)의 표준을 뜻합니다.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서 전파 사용에 대한 허가가 필요 없는 주파수를 뜻합니다. 그래서 서로 간의 전파 간섭이 생길 수 있는데요.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 기법을 사용합니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입니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하는데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간에 동기화 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 무선 이어폰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블루투스는 마스터 - 슬레이브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차에서 음악을 듣는다면, 스마트폰이 마스터이고 자동차의 스피커가 슬레이브 입니다.

    근거리에서 두 기기간의 주파수를 호핑하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입니다.

    여기서 호핑이란, 데이터 전송 시 채널 하나를 독점해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