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수식에 관하여 궁금한게있는데요
업무상 엑셀을 정말 많이사용하는데요.
엑셀을 만든 사람이 함수를 적용한 이유와
수식의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어떤원리로 이게 만들어지는건지 정말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엑셀 함수는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엑셀을 개발한 MS는 사용자가 반복적인 계산을 빠르게 수행하고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또는 집계할 수 있도록 함수를 제공했습니다. 함수는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특정한 규칙이나 법칙에 따라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SUM 함수는 지정된 범위의 숫자를 모두 더하는데, 이는 프로그래밍으로 합계 알고리즘을 엑셀 내부에 구현한 것입니다. 이러한 함수들 덕분에 데이터 작업의 정확성과 생산성이 증가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엑셀에서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합계를 구하거나 평균을 계산할 때 수식을 사용하면 자동화된 계산이 가능합니다. 수식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학적 또는 논리적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 값을 산출하는 것이며, 복잡한 수학적 연산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작동합니다. 엑셀에서 이러한 기능들은 프로그래밍적 사고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계산하지 않도록 제작된 것입니다. 수식의 작동 원리에 대한 더욱 심층적인 이해는 기본 수학과 프로그래밍 기초를 학습하는 데서 출발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처음 엑셀이 만들어지기 전에 댄 브릭클린이라는 사람이 숫자를 대입하면 마술처럼 공식이 풀리는 마술 칠판이 없을까라는 생각에서 처음 시초가 되었고 그 후에 찰스 시모니가 엑셀의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엑셀은 기본 프로그램안에서 어떤 수식이나 숫자를 넣으면 그대로 작동되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에 맞는 수식이나 함수를 써서 특정 값이나 특정 행동을 할수 있습니다. 엑셀에 보시면 비주얼 배이직 프로그래밍이 있어서 Alt + F11을 실행하면 비주얼 베이직 화면이 나오는데요. 그후 메크로를 사용해서 마우스를 누르거나 키보드로 행동이나 수식을 넣으면 화면에 비주얼베티직 프로그래밍 언어가 나오는데 그것이 엑셀 소프트프르고램이고 작동하는 원리 입니다.
안녕하세요
엑셀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복잡한 계산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수와 수식을 도입했습니다.
함수와 수식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의 논리적 연산과 수학적 공식을 기반으로 합니다. 사용자가 셀에 입력한 수식이나 함수를 엑셀의 내부 엔진이 해석하여지정된 셀 범위의 데이터를 참조하고 연산을 수행 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