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Kanemochi
Kanemochi

통풍에 좋은 음식은 어떤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8

통풍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여기저기서 나온 얘기들이 맞는건지 아닌지 너무 다 달라서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퓨린 함유가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내장류, 맥주 등의 음식을 지양하시고 달걀류, 빵, 채소류를 주로 섭취하도록 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통풍은 요산이라는 물질이 몸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엄지 발가락이나 발목, 무릎등에 통증, 열감, 부종을 동반하는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발열과 오한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단관리의 원칙은 퓨린이 풍부한 식단과 음주를 줄이는 것이 요산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체중 감량도 통풍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저지방 식이 및 야채를 포함한 건강한 식단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피해야 할 식단은 장기를 포함한 고기 종류, 돼지고기, 생선이나 조개류, 버섯류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급성기 통증을 조절하고 난 뒤에는 요산수치를 낮추는 약물복용을 시작하게 됩니다. 하지만 약에 거부감이 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퓨린이 풍부한 음식을 제한해야됩니다. 술과 설탕음료는 피하셔야 하고, 동물의 간, 신장, 췌장 같은 내장류, 참치, 소고기, 돼지고기, 해산물 등입니다.

      통풍발작(통증이 심할 때)이 발생했을 때는 병원 방문하셔서 약물치료 받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인스턴트 식품 섭취 및 야식을 줄이고 채소, 과일, 감자, 우유, 치즈, 계란, 곡류 등 저퓨린 식이요법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드시 금주해야 하며 특히 맥주는 더 위험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지방질이 낮은 식사를 통해 체중을 감량하고 하루 2~3L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퓨린 식이요법을 위한 퓨린 함량별 식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 1군(퓨린 함량 0-15mg): 먹어도 되는 음식
      계란, 치즈, 우유, 곡류(오트밀, 전곡은 제외), 빵, 대부분의 채소, 과일
      제 2군(퓨린 함량 50-150 mg): 회복 후에 먹어도 되는 음식
      흰살생선(도미, 농어, 넙치, 가자미, 대구, 명태, 복어 등)
      제 3군(퓨린 함량 150-800 mg): 피해야 할 음식
      내장(신장, 간, 지라, 신장, 심장, 혀, 뇌 등), 민물조개, 육즙, 거위, 멸치, 메주, 효모, 베이컨, 등푸른생선, 베이컨 등
      특히 이러한 종류의 식품이 들어간 국물(국밥, 매운탕 등)은 절대 피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요산은 퓨린의 대사물질로 퓨린이 낮게 들어간 음식을 먹으시는게 좋겠습니다. 퓨린은 육류나 맥주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제1군(퓨린 함량:0-15mg): 먹어도 되는 음식

      - 계란, 치즈, 우유, 곡류(오트밀, 전곡은 제외), 빵, 대부분의 야채, 과일, 설탕

      2) 제2군(퓨린 함량: 50-150 mg): 회복 후에 먹어도 되는 음식

      -흰 살 생선(도미, 농어, 넙치, 가자미, 대구, 명태, 복어 등을 흰 살 생선이라고 부릅니다)

      3) 제3군(퓨린 함량: 150-800 mg): 피해야 할 음식

      -내장(신장, 간, 지라, 신장, 심장, 혀, 뇌 등), 민물(섭) 조개, 육즙, 거위, 정어리, 청어, 멸치, 메주, 효모, 베이컨,

      주의) 등 푸른 생선(참치, 정어리, 고등어, 꽁치, 청어 등은 적당량 복용 가능. 많이 먹으면 통풍에 좋지 않으나, 등 푸른 생선이 심혈관 건강에 유익하기 때문).

      Reference - 이정찬 내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