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지렁이등 피부호흡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렁이등 피부호흡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들은 이산소를 어떻게 몸속으로 전달하는지 궁금합니다. 사람은 핏줄 모세혈관으로 전달하는데 ᆢ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xcute4
      xcute4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체표를 이용해 이루어지는 외호흡. 본래 체표면은 산소를 통과시키는 기능이 있어서 특별한 호흡기관을 갖지 않는 동물은 피부호흡에 의지하게 됩니다. 환형동물인 지렁이, 거머리, 촉수동물인 빗자루벌레, 이끼벌레 등이 이것에 속합니다.또 호흡기관을 갖는 것이라도 피부호흡을 하는 동물도 있읍니다.

      즉 기본적으로 허파나 아가미가 아닌 피부 또는 외피를 통해 가스 교환이 발생하는 호흡의 일종입니다.피부 호흡은 가스 교환만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를 수반할 수도 있읍니다.지렁이 등은 축축한 피부로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부호흡을 하는 동물은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수합니다. 피부는 매우 얇은 상피세포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산소 분자가 피부를 통과하여 체내로 흡수됩니다.

      이들은 피부호흡 동물의 혈관을 타고 이동하여 신체로 퍼져나갑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부 호흡은 가스 교환만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일 수도 있고 다른 형태를 수반할 수도 있다. 지렁이 등은 축축한 피부로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또, 개구리는 축축한 피부 호흡을 하여 허파 호흡을 돕는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렁이 등의 환형동물의 경우 피부를 통하여 가스 교환이 발생합니다.

      이것을 피 호흡이라고 하며, 지렁이는 축축한 피부를 통하여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 및 이산화탄소를 배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