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떄 달을 보면 달 주위에 무지개가 생겨서 보일떄가 있던데 이건 어떻게 해서 보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가끔 우리가 달을 보게 될때 어떤 때는 달 주위에 무지개가 생겨서 보일때가 있던데 이건 어떻게 해서 달 주위에 무지개가 생기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달주위에 무지개처럼 둥글게 보이는 현상을 달무리라고 하며 대기중의 빙정에 의해 빛이 굴절되고 반사되면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입니다. 달무리는 주로 밝은 달빛이 대기중의 특정 조건에서 발생하는 구름에 의해 굴절되면서 나타나며 대기권 상층에 위치한 권운에 의해서 나타나며 (고도 약 5~10km) 달빛이 얼음 결정에 닿으면 빛이 굴절되거나 반사되고 얼음 결정의 육각형 구조는 빛을 약 22도 각도로 굴절시키는 특징을 가지게 되는데 달무리는 달비칭 굴절되며 파장에 따라 색이 분리되어 무지개 같은 색깔의 띄를 형성하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주로 보름달이나 상현, 하현달일때 잘 보이며 대기 상층에 권운이 존재하고 이 권운이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질때 발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