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랑바레증후군 병은 어떻게 치료해야하나요
친척이 길랑바레병으로 입원중인데 침대에서 손도까딱 못하는 상태로 두달이 넘었습니다. 밥은 떠먹여줘야되고 그런데도 재활은 많이 못한다고 하네요.
밥을 떠먹을수 있게 될지. 여기저기 쑤시는데 전화도 걸수 없으니 보호자들만 답답하더군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길랑바레 증후군은 말초 신경의 자가면역 질환으로서 환자 마다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침상 고정상태라면 심한 마비가 있는 상태로 생각됩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은 말초신경계 손상이다 보니 중추신경계 환자들 만큼 재활을 받지 못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율운동이 중요한데 현재 그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결국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침상에서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도움하에 운동을 배워서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말초신경계 손상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회복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포기하지말고 재활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길랑-바레 증후군은 말초신경과 뇌신경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염증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 질환은 모든 계절에 전 세계적으로 발병합니다. 남녀 모두에게 발병하며, 30~40대의 젊은 층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기 1,3주 전부터 경미한 호흡기계, 소화기계 감염 증상을 경험합니다. 증상은 며칠 정도 지속되며, 증상이 가라앉은 후 수일~수주 사이에 신경염 증상이 나타납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세포-매개 면역 반응(cell-mediated immunologic reaction)과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길랑-바레 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급성 질병
② 위장 관계 질병
③ 식중독, 폐렴의 일부 원인균
④ 수술
⑤ 상기도 감염
⑥ 바이러스(거대세포 바이러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⑦ 예방접종(독감, 그룹A 연쇄상구균, 광견병)
⑧ 돼지 인플루엔자
⑨ 약물(캡토프릴, 다나졸, 페니실라민, 스트렙토키나제)
길랑-바레 증후군은 어느 시점에 이르면 진행이 멈추고 증상이 개선됩니다. 대개 몇 주 동안 증상이 지속되며 자연적으로 완화됩니다. 그러나 완전하게 회복되는 데는 오래 걸리며, 그 속도는 환자마다 다양합니다. 마비 상태는 비교적 잘 회복되지만, 간혹 일정한 근 쇠약, 근 위축이 회복되지 않습니다.
퇴원하더라도 운동 상태, 감각 변화, 기동력 등에 문제가 남을 수 있습니다. 사지 마비나 호흡 마비 환자의 재활 기간은 수 주에서 수 년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환자의 2~5% 정도는 완전하게 회복하기 어려운 만성 신경병증으로 진행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급성기 동안 호흡의 유지가 필요하고 간혹 고용량의 면역글로불린 치료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길랑 바레 증후군은 어떤 시점에 가면 일단 멈추고 증상이 개선되면서 대개 몇 주 동안 지속되고 회복의 속도는 다양합니다.
대부분은 자연적으로 경감되고 완전한 회복기간은 길다고 합니다. 마비상태의 회복은 비교적 좋으나 일부의 경우엔 어느 정도 근 쇠약과 근 위축이 남게 되기도 합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