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 설계사 수당이 궁금하네요??
친구가 보험일을 하는데 생명보험 얘기를 하는데 한달에 30만원짜리를 하면 설계사한테 4배인 120만원이 수당으로 나오는데 그 수당을 저한테 준다는데 매달30씩 7년납입 후 3년 묵히면 이자가 600만원넘게 나온다는데 본론은 설계사 수당이 4배정도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결론은 더 받습니다.
보험 수당을 알게 되면,
하던일에 대해서 괴리감이 느껴질 정도로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설계사의 수당은 보험을 가입시점그리고 이후 몇개월 동안 나누어서 수수료를 지급합니다 첫달부터 납입이 끝나는 시점까지 또같이 나오는 것이 아니고 얖몇개월이고 이후는 관리차원의 수수료 정도입니다 그리고 보험사마다 대리점마다 차이가 있으며 중도 해지가 들어오면 환수도 따릅니다
안녕하세요. 이재진 보험전문가입니다.
7년납의 단기납 종신보험 상품을 들으셨나보네요.
단기납 종신보험은 기본적으로 저축성이 아닌 보장성이나
아이러니하게도 저축성보험보다 훨씬 환급률이 높아 지속적으로 이슈가 있는 상품입니다.
현재는 10년차에 납입보험료 대비 해지환급금이 124%정도로
30만원*7년은 2520만원
10년차에 124%정도로 해지시 환급금 31,248,000원으로
604.8만원의 이자가 발생하는거죠.
은행에서 저축하는 것보다 효율이 좋으나
단점은 중도 해지시 환급률이 오히려 낮아 급전이 필요할 땐 손해가능성이 있다는 정도죠.
물론 이는 중요한 설명은 아니니 넘어가고
수당에 대해 말씀해드리면 이 수당은 어떤 보험사냐
또는 대리점이냐, 그안에서 어떤 지점이고 어떤 형태냐에 따라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정답을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익원 지급하는 기본 수당과 보험사에서 지급하는 시책,
이후 13차월부터 지급되는 유지수당등을 계산하면 그정도는 나오겠죠.
다만, 보험업법상 3만원이상 또는 보험료의 10%이상중 큰 금액을
주게되면
김영란법처럼 법적으로 문제가 될수는 있으나
공공연하게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니
잘 따져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선생님의 친구분이 거짓을 얘기했네요. 만약 선생님께서 친구분에게
종신, CI, 변액 이 세가지의 상품 중 하나를 30만원으로 계약을 했다면
그 친구분의 수당은 삼성생명 기준 1,800%가 나옵니다.
또한 직책에 따라 더 나올수도 있구요. 물론 생보사마다 지급률은 다르지만
그리고 설계사의 수당을 계약자에게 주는 것 자체가 불법입니다.
즉, 불완전판매고 나중에 선생님께서 손해를 보게 될 수 도 있구요.
선생님께서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으나 생명보험보다는
손해보험사에서 정기보험으로 설계를 받아보시는게 더 낫고
보험료도 10만원대이기 때문에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수수료는 천차만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딱 4배다 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즉, 회사마다 틀려서 이게 맞다 틀리다 말씀 드리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충신 손해사정사입니다.
제가 알기론 보험종목에 따라 다르지만, 월납입보험료의 600~900% 정도 설계수당으로 지급되는 걸로 압니다.
물론 영업 대리점마다 다를 수도 있겠지요.
안녕하세요. 최락훈 손해사정사입니다.
어느보험회사 상품인지, 어느보험대리점에 속해있는지에 따라 다 다릅니다.
4배이렇게 딱 고정적으로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매달 차이가 일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사의 판매수당은 보험사의 수수료지급 방식과 상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만약 해당상품에 400%의 수수료율으 책정되었다면 4배의 수당이 지급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계약 관계는 다 다르나 단기납 종신은 익월 3~4배 정도 나오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계약 유지 시 추가적으로 주는 것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