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음식 프렌차이즈 기업들 중 상장한 기업이 적은 이유가 뭘까요?
국내에는 정말 많은 프렌차이즈 기업들이 있잖아요.
근데 그 중 주식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교촌을 제외하고 잘 생각나지 않습니다. 거기에 과거에 상장했던 맘스터치도 자진상폐를 했죠 국내 음식 프렌차이즈 기업들 중 상장한 기업이 적은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외식업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상장이 적은 이유는 크게 2가지 입니다.
프랜차이즈 특성 상 가맹점의 의존도가 높아 리스크 높다.
실질적인 점포의 매출이기 때문에 매출의 한계성이 두드러진다.
이것만 보았을 대 상장한 기업들의 매출액이 조단위를 넘는 대기업이 있기가 힘든 실정입니다.
각종 리스크에 취약하기 때문에도 그렇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음식 프랜차이즈 기업들 중 상장한 기업이 적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사업 구조의 특성: 음식 프랜차이즈는 주로 개인 창업자들이 운영하는 형태가 많고, 이러한 구조는 대규모 자본 조달의 필요성을 덜 느끼게 합니다.
수익성의 변동성: 음식 프랜차이즈는 소비자의 기호 변화, 원재료 가격 변동, 경제 상황 등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동성은 주식 시장에서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인식되기 어려운 요인입니다.
투자 위험 요소: 음식 프랜차이즈는 특정 브랜드의 인지도가 매우 중요하며, 이는 브랜드 이미지나 평판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한 번의 위생 문제나 품질 문제로도 브랜드 전체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상장 요건 충족의 어려움: 상장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재무적 안정성, 투명한 경영 구조 등이 요구됩니다. 중소형 음식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존의 자금 조달 방법 선호: 많은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상장보다는 은행 대출, 사모펀드, 벤처 캐피탈 등의 방법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음식 프렌차이즈는 사실 매출규모나 영업이익 등 규모가 크지 않습니다.
대부분 가맹점으로 운영되다보니 교촌 정도의 그룹이 아니면 하기 힘들고, 더본코리아 등 엄청난 프렌차이즈 계열사가 아니면 어려운거죠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프렌차이즈 기업들이 상장한다면 주주들에게 주주환원도 해야하며
공시도 해야하고 더불어서 최대주주 등의 경영권 개입 등도 받아야 하기에
아무래도 상장 기업들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음식프렌차이즈 중 유명한게 결국 백종원이 하는 더본코리아인데 이번에 상장 추진중이죠 그외 치킨 프렌차이즈 말고 또 유명한 프렌차이즈가 드물긴한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음식 프렌차이즈 기업들 중에서 상장한 곳이 적은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상장 조건에 맞추기 힘들었을 것이고
상장하면 여려 규제 등이 있어서 참여도가 낮아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