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서 채근담은 주로 어떤 교훈을 주나요?
동양고전서 중 채근담은 주로 어떤교훈을 주는 책인가요?
20대 초반이 읽기에 적합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20대가 처음읽는 고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책의 구성은 전편 222조, 후편 135조로 구성되었고,
주로 전편은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을 말하였고,
후편에서는 자연에 대한 즐거움을 표현 하였습니다.
그리고, 인생의 처세를 다룬 책이라고 합니다.
채근이란 나무 잎사귀나 뿌리처럼 변변치 않은 음식을 말합니다.
유교, 도교, 불교의 사상을 융합하여 교훈을 주는 가르침으로 꾸며져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채근담은 우리 사회에 널리 알려진 책으로 명나라 시대 홍지성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책은 한용운의 '정선 강의 채근담'을 시작으로 번역물이 많이 출간된 책입니다. 채근담은 중용적 가치를 표방한 책입니다. 홍자성이 추구하는 중은 양극단의 정중앙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산술적으로 평군을 의미하지도 않습니다. 평상적이며 불변하는 가치를 도리에 맞도록 실천하는 삶을 말하고 있는 책입니다.
쉽게 말하면 채근담은 인생의 지혜와 경험을 바탕으로 담아낸 짧은 글귀들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명말의 홍응명(洪應明)의 어록. 2권. 합계 356조의 단문으로 이루어졌다. 출처진퇴, 처생훈, 인생의 즐거움 등을 유교를 중핵으로 도교 및 불교도 도입해서 대구 구성의 간결한 문장으로 주장하고 있다. 인생의 쓴맛을 본 저자가 심각하게 개진한 그의 인생훈은 사람들을 매료하고, 중국에서보다는 오히려 일본에서 선승을 비롯한 많은 독자를 얻고, 오늘날에도 숨어있는 독자를 가진다.
출처 : 종교학대사전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채근담'은 중국 명나라 신종 때 선비인 홍응명(洪應明/또는 홍자성(洪自誠))이 기록해놓은 인생처세 지침서이다.
두 권으로 돼 있어 전집(前集) 225조는 주로 벼슬한 다음 사람들과 사귀고 직무를 처리하며 임기응변하는 사관보신(仕官保身)의 길을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