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병원을 가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내과 이비인후과 신경과 어디를 가야할지 …
가슴 답답함과 속 매쓰꺼움 있습니다 하지만
구역질 구토감은 없고 어지러움 두통만 있는데
일생생활을 못할정도는 아닙니다 :) 그리고
아침에 일어날때나 자기전에 누울때 빙글빙글 돌거나
구역질 구토는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
걸어다닐때도 핑돌거나 빙글빙글 도는건 없지만
다만 어지럼증과 두통이 있는거 같습니다
현재 걷고 앉고 눕고 일어날때 약간의 두통과 어지러움이 있습니다
침대에 누워서 양옆을 고개를 돌려도 안어지럽습니다 …
어느 병원을 가는게 맞는걸까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만으로는 정보가 부족합니다.
뇌신경문제, 귀의 문제, 심장의 문제, 전신질환의 문제
각 질환을 배제하고 진단을 하기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영상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크게 소뇌의 문제인 중추성 혹은 전정기관이라 불리는 달팽이관에서 발생하는 말초성 현훈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병변은 주로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젊은 나이대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말초성 현훈은 주로 이석증이나 전정기관염, 메니에르 병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이비인후과, 신경과 등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해당 증상은 말초신경계 이상을 우선 의심해볼 수 있으며 이비인후과를 먼저 방문하여 진료를 보신 후에 신경과를 방문하는 것이 순서상 적절한것으로 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공황장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공황장애가 생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가바 등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의 이상에 의한 이유가 있습니다.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가바 등은 인간의 심리를 컨트롤하는 물질입니다.
이러한 물질들이 적정한 선에서 분비되지 않고 과도하게 또는 부족하게 분비가 되어버리면, 밸런스가 깨지게 되어 공황장애나, 우울증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환경적인 요소들에 의해 스트레스가 나타나면 공황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공황장애에 걸리게되면
자주 숨쉬는데 불편감을 느끼게 됩니다.
(숨을 들이쉬었는데 끝까지 숨이 들어가지 않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극심한 공포심이 밀려올수도있습니다.
(보통 10분정도 유지되다 소실됩니다.)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며 구토를 하고싶은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현기증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치료
1. 인지행동치료
2. 호흡치료
3. 통찰치료
4. 약물치료
5. 바이오피드백치료
안녕하세요. 최정수 의사입니다.
젊은 나이에서 생기는 어지럼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귀 문제입니다. 이석증이라고 얘기 하며 귀의 균형을 담당하는 이석이 제 역할 하지 못하면 어지러움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가만히 있어도 어지러움을 느낀다면 뇌 자체 문제도 의심해 봐야 하며 그런 경우에는 뇌 영상 검사를 통해서 머리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지럼증을 감별진단하는 과는 신경과와 이비인후과가 대표적이고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증상은 신경과에서 감별진단 받아보시는게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부분 큰 문제가 없어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편안한 마음으로 진료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귀의 문제는 가능성이 낮아 보이기는 합니다. 다음은 신경과에서 뇌의 문제에 대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신경과도 문제가 아니라면 내과적인 검사로 넘어가면 되구요.
일단은 이비인후과를 먼저 방문해서 검사나 진료를 보시고 그다음 필요시
신경과 진료 등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의 원인이 머리라면 신경과로 귀라면 이비인후과로 진료를 봐야하나
진료를 보기 전에는 구분이 어려우므로 일단은 먼저 한 군데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