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농민들은 일을 얼마나 많이 해야 하였나요?
저는 역사시간에 농민들이 하루 종일 일을 해도 먹고 살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일제시대에 일본인들의 우리나라의 농민들의 공동노동의 모습을 기록한 문서에서는 당시 농민들의 노동시간이 일본에 비해 너무 짧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고 하더라구요.(대신 신체조건은 일본인보다 좋아서 짧은 시간에 강도높게 일했다고 합니다.) 혹시 역사적인 사실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농민들은 가족 노동을 기반으로 농사일에 종사했으며, 소비물자의 대부분을 자급자족했기 때문에 일 년 내내 농사일에 매달려야 했습니다.춘분과 추분 사이의 농번기뿐만 아니라 그 외의 시간인 농한기에도 집 수리, 가마니 짜기, 새끼 꼬기 등의 일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농민들의 노동 시간은 계절과 작물 수확 시기에 따라 상이했으나 일반적으로 하루 8시간 이상의 중노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봄과 가을에는 농사일로 바빴고 여름철에는 김매기나 퇴비 만들기 등의 작업을 했습니다. 겨울철에는 보리밟기나 새끼 꼬기 등의 일을 했으며 쉬는 날은 명절이나 제사 등의 집안 행사나 마을 잔치, 품앗이 등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강점기에는 농민들이 농사를 지어 수확을 해도 가혹한 세금으로 수탈당하여 정작 수확물은 미미했습니다. 얼마나 가혹한 세금이 매겨졌으면 세금에 대한 저항으로 전남 완도 소안도에서부터 시작되었던 소작쟁의 운동이 전개된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농민들의 소작쟁의 운동은 들불처럼 번져 독립운동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농민들은 일년내내 농사일에 매달려야 했고, 춘분과 추분 사이의 농번기에만 일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시간인 농한기에도 집수리, 가마니짜기, 새끼꼬기 등의 일에서 벗어날수 없었습니다. 하루 일과는 보통 동트기 전인 약 새벽 5시에 일어 나서 저녁 6시 정도까지 일을 했으니 약 10시간 이상을 농사 일을 했던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