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이론은 어떻게 성립하나요?
소득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론을 공부하였는데요. 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이론 그래프가 어렵습니다. 그래프를 해석해주시길 부탁드리고 이론도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 이론(LCM)은 개인의 소비와 저축 행동을 설명하는 경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사람들이 생애 전반에 걸쳐 소득을 어떻게 분배하는지를 분석합니다. 기본 개념은 사람들이 현재 소득뿐만 아니라 미래 소득을 고려하여 소비를 계획한다는 것입니다.
그래프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른 소비와 소득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초기에는 소득이 낮고 소비가 상대적으로 높아 저축이 적거나 마이너스일 수 있습니다. 중년기에 소득이 증가하면서 소비도 증가하지만, 저축이 더 많아집니다. 은퇴 후에는 소득이 줄어들지만, 이전에 저축한 자산을 통해 소비를 유지합니다.
1명 평가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이론(Life-Cycle Hypothesis, LCH)은 개인의 소비와 저축 행동을 설명하는 경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프랑코 모딜리아니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개인이 생애 전반에 걸쳐 어떻게 소득을 소비하고 저축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생애 동안 소득의 변동에 상관없이 일정한 소비 수준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초기에는 소득이 낮지만 소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저축을 합니다.
중년에는 소득이 증가하지만 소비는 일정하게 유지하며, 노후에는 소득이 감소해도 이전에 축적한 자산으로 소비를 계속합니다.
그래프에서 소득은 초기에는 낮고, 중년에는 증가하다가 노후에는 감소하는 패턴을 보입니다.
반면 소비는 소득의 변동에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저축은 소득이 많을 때 증가하고, 소득이 적을 때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생애 동안 지속적인 패턴을 보입니다.
이 이론의 핵심은 개인이 전체 생애 동안의 평균 소득을 바탕으로 소비를 계획하며, 자산을 축적하여 미래의 소비를 보장하려는 것입니다.
즉 소득이 불규칙할 때 자산을 통해 안정적인 소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모딜리아니의 이론은 개인이 소득의 변동을 평탄화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설명하며, 자산 축적과 소비 패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딜리아니는 개인의 소비성향은 나이에 따라 돌아오는
자본의 비율로 알 수 있으며 이를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개인의 소비함수에 대한 정리는 나아가 개인이 속한 집단의 소비함수에
대한 정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는 등 하였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생애주기이론은 현재의 소비가 현재소득뿐만아니라 평생소득에 달려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즉 사람들은 평생을 염두에 두고 현재의 소비를 결정한다는 말이죠.
먼저 유년기에는 소득이 없지만 소비는 일정수준 발생하므로 음의 저축이 일어납니다.
소득이 본격적으로 발생하는 중년기에서는
양의 저축이 이뤄지고 노년기 부터는 다시 음의저축이 일어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