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화끈한 낚지
화끈한 낚지24.02.16

조선시대에도 여자의사가 있었나요?

역사 드라마를 보다 보면 조선시대 때는 여자들이 할 수 있는 것이 그렇게 많이 있지 않았던 거 같은데 조선시대에도 여자 의사가 있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성 의사는 의원으로 불렸고 여성 의사는 의녀라는 명칭으로 불렸고, 활동 범위와 사회적 인식에 있어 차이가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여자 의사가 있었습니다. 의녀는 중종 때 최고 의녀인 대장금이 실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태종 때 제생원에서 비녀(卑女)들 중 영리한 여자 아이를 뽑아 침구술과 약이법을 가르쳐 부인병을 치료하게 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녀로는 조선 중종 때 최고 의녀인 대장금이 실제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의녀제도는 남녀유별한 시대에 부녀자들이 남자 의원으로부터 진찰을 받는 불편함을 덜어주기 위해 태종 때 제생원에서 비녀들 중 영리한 여자를 뽑아 침구술과 약이법을 가르쳐서 부인병을 치로하게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물론 있었습니다만. 현재처럼 "의사"부분이 강조되는게 아니라

    "여자" 부분이 강조 되었습니다.

    애초에 조선에서의 의사는 지금으로 따지자면 프로그래머 비슷한 느낌 이기도 했구요

    고생고생하는 전문직이지만 사람들이 대우해 주지 않는 그런 느낌이죠.

    의녀는 관노비의 일종으로, 그 시초는 남성 의원이 여자 환자를 만질 수 없어서

    자기 노비중 여자에게 진맥이나 침술 등을 대신하도록 시킨 것이라고 합니다

    노비에 불과 했고. 의술+노비 라는 입장 때문에 오히려 다른 노비보다

    사회적으론 더 천시받았다고 하죠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의 유일한 기록에 남아 있는 여자 의사는 대장금 입니다. 조선 중종대의 의녀이며,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고,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남아있는 의녀 중 하나 인데 의녀 장금이 처음 기록에 등장한 것은 중종10년 1515년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