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상장시 대형홀더들의 덤핑을 어떤식으로 막을수 있나요?
가끔씩 소형 거래소들에 신규상장하는 코인들을 보면 절대 개미가 던질수 없는 수준의 볼륨과 하락이 나오곤 하는데
이경우엔 개발자들 팀물량을 던졌거나 투자를 한 기관 혹은 대형홀더들이 물량을 던진거라 해석되는데
이런 큰 덤핑이 일어나면 차트가 망가지면서 회생불능의 수준으로 빠지는것 같습니다
이러한 대형 홀더들의 초기 덤핑을 막기위해선 어떤방법이 필요할까요?
말씀하신 것처럼 상장 시에 초기 덤핑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토큰 이코노미상 홀딩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해야 하며, 토큰의 실 사용처를 확보하고, 상장 시에 매수세가 붙도록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홀딩 정책과 관련하여서는 기본적으로 스테이킹 기능과 보상 지급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어떤 서비스에서 스테이킹을 하게 되었을 때 해당 서비스 내에서의 특별한 혜택이 주어지거나 합당한 보상이 주어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스테이킹을 유도하고 상장 초기에 덤핑되는 물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홀더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보상을 지급해서는 안 되며 스테이킹을 한 상태에서 서비스에 기여하는 보상의 개념으로 지급되는 것이 토큰 이코노미 상으로 도움이 됩니다.
다음으로 토큰의 실 사용처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토큰이라는 것은 근본적으로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발행된 것, 그러니까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계약으로서 존재하는 가상의 토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자체로는 아무런 가치가 없는 디지털 정보에 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토큰이 서비스 유저들에게 분배될 때 가치를 부여하는 행위나 자원의 투입이 병행됨으로써 토큰의 가치가 올라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토큰도 돈의 성질을 가진다고 본다면 순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맺음으로써 토큰의 실 사용처를 늘리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초기 덤핑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끝으로 매수세가 붙을 수 있도록 서비스의 개발을 성실히 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상장시에 기본적인 마케팅 비용을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투자자들에게 미래에 대한 비전을 보여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높고 토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실제적인 통계 데이터로 보여주거나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구현시키는 과정을 통해 초기 덤핑을 줄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