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알라비
알라비23.03.09

현미경을 만들 생각을 어떻게 한거죠?

사람 눈에 안 보이는 것까지 현미경을 사용하면 보입니다

미생물도 보입니다. 사람 눈에 안 보이는 것도 보이게 하는

원리도 궁금하지만, 저는 사람 눈에 안보이는 걸

있다고 생각하고 볼 수 있는 걸 만들자는 생각을

어떻게 하였을까 그게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현재의 현미경과 같은 구조를 지닌 현미경은 1590년 네덜란드의 자하리야 얀센(Zacharias Jansen, 1580~1638)과 그의 아버지인 한스 얀센(Hans Jansen)에 의해 발명됐다.


    얀센 부자는 2개의 렌즈로 구성된 망원경 모양의 복합현미경을 발명하였는데, 이는 색수차로 인해 고배율 관찰은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1670년 네덜란드의 안토니 반 레웬후크(Anthony van Leeuwenhoek, 1632~1723)는 당시로서는 매우 놀라운 273배 정도의 고배율 관찰이 가능한 광학현미경을 발명해 현재 현미경의 모태를 마련한다.


    이후 현미경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1931년 독일의 막스 크놀(Max Knoll, 1897~1969)과 그의 제자였던 에른스트 루스카(Ernst Ruska, 1906~1988)가 전자현미경을 발명하는 데 성공하였다.

    루스카 박사는 전자현미경 발명과, 지속적인 성능 개선에 기여한 공이 인정되어 전자현미경 발명 55년 만인 1986년, 80세의 나이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 안녕하세요. 성큼성큼걷는펭귄836입니다.

    최초의 현미경은 안경사를 통해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렌즈를 다루면서 두개의 렌즈를 이용해 확대하는 것을 찾아낸 것이죠

    이후발전을 거듭하며 인간의 호기심과 맞물려 지금의 현미경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