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고매한랍스타281
고매한랍스타28122.10.22

경유 가격이 휘발유보다 비싼 이유가 궁금합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휘발유가격이 비쌋는데 요즘은 휘발유 가격보다 경유가격이 비쌉니다 무엇때문에 경유가격이 비싼지 알려주십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해외의 경우에는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보다 비싸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정부의 유류세 정책으로 인해서 경유를 휘발유보다 저렴하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정부가 유류세 인하에 대해서 휘발유의 탄력세율은 리터당 529원에서 423원으로, 경유의 탄력세율은 리터당 375원에서 300원으로 인하 적용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정부 정책으로 인한 세금으로 휘발유가격이 100원 가량 인하된 것에 비해 경유 가격은 75원을 인하되는 것에 그치면서 경유가격이 더 오르게 되는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바로 '유류세'에서 찾을 수 있어요. 1970~80년대, 휘발유는 사치품으로 여겨진 자동차의 연료로, 경유는 국가 경제 부흥에 필수인 산업용 연료로 인식됐어요. 이를 반영해 정부는 휘발유에 붙는 세금을 경유보다 높게 책정했고 따라서 경유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공급됬습니다.

    하지만 최근 경유 가격이 폭등한 이유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주된 원인으로 꼽힙니다. 러시아는 세계 3대 원유 생산국으로 유럽은 경유의 60%를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는데요.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경제제재로 경유 수출길이 막힌 게 수급 불균형과 가격 폭등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국제 시장에서의 경유 가격 폭등은 국내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쳐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급과 수요문제점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경유에 사용되는 세금은 적게 붙이고 휘발유에는 더 많은 세금을 부과했습니다.경유는 산업기반에 활용이 많이 되어진 반면 휘발유는 사치성이 크다는 이유였는데 이번에 유류세를 인하하면서 상대적으로 휘발유 유류세 혜택을 많이 받다보니 격차가 나타난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적인 시세로는 경유의 시세가 휘발유보다 비쌌으나

    국내에서 경유에 대한 유류세가 훨씬 적었고

    최근 고유가로 인하여 정부에서 경유와 휘발유에 대한 유류세를

    낮추었고 이에 따라서 감세의 폭이 더 큰 휘발유가 저렴해진 것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