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깐깐보써니
깐깐보써니

무지개 반원 안쪽으로 빛이 환한이유는?


안녕하세요?? 오늘 조금전 사진인데요.. 지금보니 무지개의

반원 안쪽으론 조명탄 쏜것처럼 더 환한데요~ 정확한.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는 햇빛이 물방울을 통과할 때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며 햇빛이 굴절과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무지개의 안쪽이 환한 이유는 무지개가 소나기가 내린 후 대기 중에는 빗방울로 인해 주로 발생하는데요. 무지개는 지표면에서 시작해서 반원형 고리 형태로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 발생하며 안쪽이 환한 이유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 빛이 향하는 방향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반원 안쪽은 태양빛이 물방울에 의해 굴절, 반사, 산란된 후 관측자의 눈으로 들어오는 각도가 가장 좁은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굴절, 반사, 산란된 태양빛이 모두 관측자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가장 밝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물방울에 빛이 반사되고 굴절되며 분산되어 하늘에 나타나는 빛의 스펙트럼을 초래하는 기상 현상입니다. 그것은 여러 가지 색의 원호 형태를 취합니다. 햇빛에 의해 야기 된 무지개는 항상 태양의 바로 맞은 편 하늘에 나타납니다.


    무지개는 완전한 동그라미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측자는 일반적으로 지상 위에 조명 된 물방울에 의해 형성된 원호 만보고 태양으로부터 관찰자의 눈으로 향하는 선을 중심으로 본다.


    기본 무지개의 아크는 바깥 쪽 부분에 빨간색을 표시하고 안쪽에는 보라색을 표시합니다. 이 무지개는 물방울에 들어갔을 때 굴절되는 빛에 의해 생긴 다음 물방울의 뒤쪽으로 반사되고 그 물방울을 떠날 때 다시 굴절됩니다.


    두 번 무지개의 경우 두 번째 원호가 기본 원호의 바깥쪽에 표시되며 원호의 안쪽면에 빨간색이 그 색의 순서가 바뀝니다. 이것은 물방울의 내부에서 빛이 두 번 반사되어 떠나는 이유입니다.


    기본 무지개 안의 하늘은 활 밖의 하늘보다 밝습니다. 이것은 각 빗방울이 구체이기 때문에 하늘의 원형 디스크 전체에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디스크 반경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며, 적색광은 청색광보다 큰 각도로 산란됩니다. 대부분의 디스크에서 모든 파장의 흩어져있는 빛이 겹쳐서 하늘을 밝게하는 흰색 빛을 낳습니다. 가장자리에서는 산란의 파장 의존성이 무지개를 발생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반원 모양은 물방울에서 나오는 빛이 반사되는 각도에 따라 형성됩니다. 반사된 빛은 물방울 내부에서 한 번 더 굴절되고, 다시 외부로 나오면서 무지개를 형성합니다. 이때, 반사된 빛 중에서는 반원 모양으로 나오는 빛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반사된 빛이 반사각에 따라 집중되어 무지개 반원 안쪽으로 빛이 환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