랍스터는 정말 수명이 무한대 인가요?
안녕하세요.
다큐를 보던중 랍스터의 수명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어린 개체일때 사냥을 당하거나 사람에게 포획 or 물리적 충격만 당하지 않는다면 정말 랍스터는 무한대로 살수있나요?
랍스터 외에도 이론적으로 수명이 무한대인 생물이 어떤게 또 있나요?
너무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랍스터는 이론적으로 '늙지 않는' 생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들이 지닌 특별한 생물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랍스터는 몸이 커지는 것을 멈추지 않으며, 더욱 중요한 것은 그들의 세포가 손상되거나 늙는 데 따른 생리적 한계가 다른 많은 동물들보다 훨씬 덜 명확하다는 점입니다. 이런 특성은 텔로미어라고 하는 DNA의 부분이 시간이 지나면서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소인 텔로머라제의 지속적인 활성 덕분입니다. 대부분의 동물은 나이가 들면서 텔로미어가 닳아 없어지고, 이로 인해 세포 분열 능력이 감소하지만, 랍스터는 이런 과정이 덜 발생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랍스터가 실제로 무한히 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랍스터는 나이가 들면서 크기가 계속 커지고, 이에 따라 탈피 과정이 점점 더 어려워집니다. 탈피는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며 위험한 과정이기도 하고, 크기가 클수록 적에게 잡히기 쉽고 질병에 걸릴 확률도 높아집니다. 결국, 랍스터는 자연적인 노화보다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생을 마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랍스터는 이론적으로 무한한 수명을 가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들은 테로미어라고 불리는 염색체 말단 부분을 계속해서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세포 노화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랍스터는 탈피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나이가 들어도 생식 능력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포식자, 질병, 환경 스트레스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대부분의 랍스터가 무한히 살 수는 없습니다. 랍스터 외에도 플라나리아(납작벌레), 히드라, 특정 해파리 종 등이 이론적으로 무한한 수명을 가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재생 능력이 뛰어나고, 노화 과정이 매우 느리거나 관찰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물들도 실제 환경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랍스터의 수명이 무한대라는 주장은 일반적으로 틀린 정보입니다. 랍스터는 노화 속도가 매우 느리고, 노화 과정에서 노화 흔적이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오래 살 수 있습니다
세포안의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텔로미어가 세포분열을 할 때마다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결국 텔로미어가 모두 소모되면 세포는 더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노화되어 죽게됩니다.
이것 노화와 죽음의 주된 이유로 볼 수 있습니다.
랍스터의 경우 짧아진 텔로미어를 복구시킬 수 있는 기작이 있습니다.
랍스터의 세포는 텔로머라아제를 항상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랍스터의 세포는 횟수 제한 없이 분열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노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랍스터의 경우 노화로 죽지는 않고 말씀하신대로 다른 생물에게 잡아먹히거나, 탈피하는 중 실패하여 죽게됩니다.
랍스터 처럼 텔로미어를 복구하여 노화를 겪지 않는 생물로 홍해파리를 들 수 있습니다.
홍해파리는 성체가 된 후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다시 어릴 때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이를 일생동안 계속 반복합니다.
랍스터처럼 텔로미어를 복구하기 때문에 노화로 인해 죽지 않는 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마찬가지로 다른 생물에게 잡아먹히는 등의 이유로 죽게됩니다.
이 외에도, 히드라, 물곰(곰벌레 ;완보동물) 등의 동물이 수명 때문에는 죽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네, 많은 생물학자들에 의하면 랍스터는 이론적으로 영생이 가능한 동물입니다. 이렇게 랍스터가 오랜 시간동안 살 수 있는 이유는 수명과 관련되어 있는 텔로미어 서열의 복구 능력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염색체 말단에 존재하는 텔로미어 서열의 경우 세포분열을 거듭할 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다가 결국 이것이 소멸되었을 때 세포는 더 이상 세포분열을 할 수 없게 되는데요, 랍스터의 경우 해당 서열을 다시 늘릴 수 있는 '텔로머라제'라는 효소를 항상 활성화 하고 있기 때문에 수명이 긴 것입니다. 랍스터와 마찬가지로 거북 역시 긴 수명을 가지고 있는데, 거북 역시 '텔로머라제'라는 효소를 이용하여 텔로미어 서열을 재생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