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준금리 이제 인하 하는 걸까요?
미국 연준은 아직 인하를 하는지 안 하는지 의견이 많은데, 그래도 9월에는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데요.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언제 내리는 것인지, 아니면 환율 오르고 해서 못 내리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전문가분들의 의견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는 어려울 것이며 미국이 금리인하를 할 떄에 소폭 인하할 가능성이 가장 높아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인하는 단독으로 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하되는 시점에 우리나라도 인하할 듯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갭은 2%p 나 발생하고 있고, 환율 또한 고공행진(1400원)중입니다. 그래서 섣불리 금리인하을 단독으로 하지 못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기준금리 인하는 없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에서도 물가가 어느 정도 인하 되어야지 기준금리도 인하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기준금리 인하는 시티은행 이코노미스트의 경우 올해 8월 인하한다도 있습니다 대다수는 올해 10월이나 11월에 1회 인하관점이 많구요 시티은행 같은 일부 외국계 이코노미스트들은 연내 2회 인하를 보는 관점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인하는 결국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미국의 기준금리인하가 진행되면 우리나라도 본격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빠르면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9월 늦으면 11월 정도에 진행되지 않을 까 싶습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결정합니다.
그런데 독립되어있는 기관이기는 하지만 한은총재도 농담으로 정부로부터 독립되어있지만
미국 연준으로부터 독립되어있지 못하다라고 할정도로 미국기준금리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일단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2% 초반대로 안정적으로 낮아지면 우리가 먼저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도 있지만
가급적 미국이 금리인하를 시작하면 그뒤에 우리나라 금리인하를 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의 경우, 9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현재 불투명한 상태입니다. 연준은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인식하고 있어 신중한 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말 금리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었으며, 추가적인 인하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행은 4분기에 혹은 내년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환율 등을 고려할 때, 연준보다 먼저 금리를 인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nh금융연구소의 심재찬 책임연구원은 "연준은 9월 이후 한두 차례, 한은은 4분기 한 차례 정도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전문가들의 시나리오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률이 아직 목표 수준(2%)에 안착하지 않았다는 점과 성급한 금리 인하가 물가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환율 상승 압력도 금리 인하 결정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의 전적으로 미연준의 금리 정책에 커플링 되었다고 보입니다. 원화 환율이 상당히 높은 상태라 큰 변화가 없는 한 한국은행 단독으로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하반기 한 두 번 미연준의 금리 인하가 가능하여 한국은행도 동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령, 0.5% 내외 금리 인하가 연내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미간 기준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먼저 인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진행된 이후에 우리나라도 금리 인하를 할 수 있기에 올해 10~11월에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