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에 찍힌 지문의 닌히드린 반응성 감소
종이에 지문을 찍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닌히드린 반응성이 감소하는 이유가. 아미노산의 산화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닌히드린 반응은 지문 감식에서 아미노산과 반응해 보라색 또는 분홍색의 착색을 유도하는 중요한 화학 반응입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반응성이 감소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합니다.
첫째로, 지문 속에 있는 아미노산은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거나 분해될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아미노산 구조가 변형되면 닌히드린과 효과적으로 반응하지 못하여 착색이 약해집니다.
둘째로, 고온이나 높은 습도에서는 아미노산이 더 빠르게 변성되어 닌히드린 반응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닌히드린 자체도 광분해될 수 있어 감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지문 속의 유기 성분이 종이 표면에서 휘발되거나 표면에 고착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닌히드린이 아미노산과 반응할 기회가 줄어들면서 색 변화가 둔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닌히드린 반응은 아미노산이나 단백질이 닌히드린과 반응하여 보라색을 만드는 반응으로 과학수사대에서 지문감식, 혈은 감식을 할때 사용하는 시약의 원리 입니다.
종이에 묻은 지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지기 때문에 닌히드린 반응이 계속 감소되는 것인데 이것은 지문에 묻은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이 사라지는 것은 맞으나 아미노산이 산회되었다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인체에 남아있는 땀 성분이 묻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수분과 수분에 포함된 아미노산이 주변의 온습도의 영상으로 증발한 것 이라 해석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