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청초한앵무새214
청초한앵무새21422.01.04

주식어플에서 종목분석을 보는데 PBR이 뭔가요?

주식에서 pbr이 뭔가요 용어가 많이 있는데 무슨말인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여기저기 찾아봐도 어려운말들 뿐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비슷한 용어들도 같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PER는 주가를 EPS(Earning Per Share :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주가가 주당순이익과 비교해 몇 배 수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다소 비싼 가격인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합니다.

    - PBR(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가 그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낮은 PER와 PBR을 가진 주식이 항상 투자가치가 높은 주식으로 평가받는 것은 아닙니다. 가격이 싸다고 해서 반드시 주식이 오르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PBR이란?
    PBR(Price to Book Ratio :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주)별로 안 엄청나"의 주가가 2000원이고 주당순자산이 1500원이라면 주가순자산비율은 얼마가 될까요? 너무나 쉬운 계산이죠?

    2000/1500=1.333이니까 "(주)엄청나"의 주가순자산비율은 1.3이 됩니다.

    PBR의 의미
    만약 주가순자산비율이 1 이라면 주가가 순자산의 1 배로 팔린다는 이야기고, 주가순자산비율이 100 이라면 주가가 순자산의 100 배로 팔린다는 이야기 입니다.

    주가가 순자산의 1 배로 팔리든, 100 배로 팔리든 그게 무슨 상관이냐구요? 물론 이런 생각을 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순자산비율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이러합니다. 주당순자산은 공장이 문을 닫을때 주식 1주당 떨어지는 돈을 의미합니다. 공장이 문을 닫을때 주식 한장당 1만원이 떨어진다면 주가도 당연히 1만원은 되어야 합니다.그리고 주식 한장당 10만원이 떨어진다면 주가도 최소한 10만원이 되어야합니다. 유식하게 말해서 주가순자산비율이 최소한 '1'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신문의 내용을 인용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BR은 주가순자산비율(Price to Book-value Ratio)을 말합니다.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 :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시장가치비율로,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 1주당 몇 배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합니다.

    •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시가총액 / 순자산

    BPS와 PBR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BPS(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 순자산 / 주식수 = (총자산-총부채) /주식수 = 총자본 / 주식수

    -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BPS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장부가격에 의한 주주 소유분)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내며, 경영의 종합력이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배율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