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교사와 학생간의 가장 효과적인 소통방법 있을까요?

학생들이 담임 선생님을 어려워하듯 교사도 학생과 어떤식으로 대화룰 해나가야 할지 고민인거 같네요. 교사와 학생간의 효과적인 소통방법 있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교사와 학생 간의 효과적인 소통 방법은 명확하고 친근한 언어 사용, 열린 질문을 통한 학생의 의견 수렴, 정기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과 교사간 효과적인 소통 방법의 경우에는 선생님이 잘 해주셔야 될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은 아직 성숙하지 않고 사회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아주 어눌하고 쑥쓰러움도 많을것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선생님께서 아이들을 잘 관찰해주시고 아이들에게 먼저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많은 아이들을 케어하는 입장에서는 쉽지 않겠지만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는 선생님게서 부지런해지셔야 될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평소 아이의 행동이나 언행을 면밀히 살펴 아이의 성향을 파악하고, 성향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긍정적인 격려를 하면서도 문제 행동에는 단호하게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교사와 학생 간의 효과적인 소통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직접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하면 서로의 표정과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메일이나 문자를 이용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방의 반응을 바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을 두고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온라인 채팅을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어 빠르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속어 및 악성 댓글 등 부작용이 존재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그룹 토론을 하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서로의 생각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주제와 규칙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워크숍이나 캠프를 이용하면 함께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이때, 서로의 관심사와 취미를 중심으로 대화를 이끌어내면 더욱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상담을 이용하면 개인적인 문제나 고민을 솔직하게 나누고, 서로의 조언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비밀 보장과 안정감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관찰과 피드백을 이용하면 서로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고려하고, 구체적인 이유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방법들을 조합하여 상황에 맞게 적용해보면 보다 효과적인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단,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정기적으로 학생들과 대화를 나오고 학습 진행 상황을 체크합니다.

    그리고 평소에 아이의 생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생각을 끌어내고

    대화에 적극 적으로 참여 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