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거창한바다사자245
거창한바다사자24523.02.20

경제가 안좋다구 얘기하는 판단지표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뉴스를 보거나 주변사람들과 얘기를 하다보면 경제가 너무 안좋다는 얘기를 자주듣게 되는데요.

이렇게 판단하는 지표나 이런것들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 상황이 국가, 지역 및 해당 기간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경제가 "나쁜"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단일 지표는 없습니다.

    그러나 경제의 건전성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부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내총생산(GDP): 주어진 기간 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 가치입니다. 장기간에 걸친 GDP 감소는 경제 위축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실업률: 적극적으로 구직하고 있지만 일자리를 찾을 수 없는 인력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높은 실업률은 노동 시장이 약하고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인플레이션율: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하는 비율을 측정합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소비자의 구매력을 잠식하고 경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소비자 신뢰도: 소비자가 경제와 자신의 재정 상황에 대해 갖는 낙관의 정도를 측정합니다. 소비자 신뢰의 하락은 경제에 대한 믿음이 부족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5. 주식 시장 성과: 이것은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성과를 측정하며, 이는 투자자 심리 및 경제적 기대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는 경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경제 측정 유형의 몇 가지 예에 불과합니다. 실제로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려면 여러 지표의 조합과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기저 요인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를 판단하는 여러 지표가 있습니다.

    소비자 물가지수 생산자 물가지수 금리인상 등과 같은 여러 보조지표를 보고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소비자물가지수 등을 볼 수도 있으며

    또한 실업률도 이를 판단하는 지표이며

    gdp가 역성장을 하는 등을 토대로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좋지 않다고 판단하는 기준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소비심리지수 하락

    • 기업들의 재고증가

    • 실업률 증가

    • 취업률 감소

    • 원자재 수요 감소(원자재 가격하락)

    • 건설업 지수 하락

    • 무역수지 적자

    위와 같은 상황들이 발생하는 경우에 경제가 좋지 않다고 판단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