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10.01

나전칠기를 언제 처음 만들기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나전칠기는 전복, 소라, 조개와 같은 패류의 껍데기를 갈아

얇게 가공한 자개를 일일이 붙여 문양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나전칠기의 역사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0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전칠기의 역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개를 이용하여 장식한 물건 중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것은 수메르 문명의 왕릉에서 출토한 우르의 군기와 우르의 전승기념비입니다.
    유래는 분명치 않으나, 중국에서는 상나라 때부터 나전칠기를 만들고 당나라 시기에 많이 만들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평탈기법에 가까운 나전칠기를 발견하고 삼국사기에 칠전이라고 하는 관청이 신라에 있다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적어도 삼국시대엔 나전칠기를 널리 제작하고 있지 않았나 짐작할 수 있다. 신라 때의 나전 유물로 국보 제140호 나전 화문 동경이 현존합니다.
    고려시대의 기록인 고려도경과 조선시대의 동국문헌비고에 고려 나전칠기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문종 시기에는 송나라와 거란에게 나전칠기를 선물로 주기도 했습니다. 고려시대 나전칠기의 특징으로 복채법과 금속선을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개를 이용해 장식한 물건은 수메르 문명의 왕릉에서 출토한 우르의 군기와 우르의 전승기념비이며, 유래는 분명하지 않으나 중국 상나라 때부터 만들고 당나라 시기 많이 만들어졌으며, 한국에서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평탈기법에 가까운 나전칠기를 발견, 삼국사기에 칠전이라는 관청이 신라에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나전칠기를 널리 제작했음을 짐작합니다.

    .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전칠기의 유래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중국 상나라 때부터 나전칠기를 만들기 시작하였고 당나라 때 많이 만들어 졌고 한국으로 전래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전칠기는 중국의 당나라로부터 7-8세기 정도에 전래되었습니다. 한반도에 들어온 나전칠기 공예기법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점차 유행하게 되는데 신라의 경우 식기방 (飾器房, 후에 칠전으로 바뀜)이라 불리던 관청이 있었는데, 이곳에 나전 칠기를 포함한 다양한 칠기 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전칠기의 역사는 고려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조선시대 초기의 나전칠기는 고려 때의 의장(意匠)을 이어받았지만, 그 솜씨가 거칠어졌다. 임진왜란 후에는 십장생(十長生)을 주제(主題)로 한 서정적이며 회화적인 요소를 간직했다.


  • 안녕하세요. 경제 금융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나전칠기는 조개껍질을 얇게 갈아서 옻칠한 기물에 붙여 장식하는 칠공예의 한 기법입니다.


    나전칠기는 중국 당나라 때에 성행하여 우리 나라와 일본에 전해졌습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이미 나전칠기가 제작되었으며,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독자적인 양식을 이룩하여 중세 동양 칠공예의 이채로운 존재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전기법은 중국 당나라 때에 성행하였으며

    그것이 한국과 일본에 전하여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 전래의 초기에는 주로 백색의

    야광패(夜光貝)를 사용하였으나 후대 특히

    한국에서는 청록빛깔을 띤 복잡한 색상의

    전복껍데기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