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보랏빛박쥐258
보랏빛박쥐25822.11.08

정부에서 돈을 푸는것의 영향과 회수의 방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우리는 정부에서 돈을 여러 지원금으로 풀어서 주는것을 알 수 있는데

그와 반대로 회수는 어떤방법으로 해결할까요?

기존의 세금으로 거두는거 말곤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에서 시중에 돈을 푸는 것을 유동성 공급이라고 합니다.

    유동성을 공급한뒤에 이에따른 부작용(인플레이션 심화 등)이 나타나게 된다면 정부는 시중의 유동성을 회수하기 위하여 2가지 조치를 취합니다.

    1. 테이퍼링(시중에 유동성 공급량의 감소 - 약한 정책)

    2. 금리인상(시중의 유동성을 이자, 예금수요 증대로 회수 - 강한 정책

    현재는 금리인상을 매우 가파르게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성이 강한 속도로 회수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중의 돈 즉, 유동성을 회수하는 방법은 시중의 국공채를 매각하여 지중의 돈을 흡수하거나 금리를 올려서 시중 유동성이 금융권에 머물게 하는 방안 등이 대표적인 방법들입니다. 또한 세금을 올리는 방안도 있으나 증세는 조세 저항이 커서 위의 두 방안을 주로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금으로 거두는 방법으로 시중의 통화를 흡수할 수도 있고

    금리를 올려버림으로써 시중의 통화를 중앙은행이 흡수하게 하는

    효과를 주어 통화를 회수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푸는 방법과 회수 방법 각각 추가로 1가지씩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푸는 방법으로는 한국은행과 같은 기관에서 채권을 매입합니다.

    채권을 매입한다는 것은 돈을 주고 채권을 산다는 것입니다.

    그럼 한국은행의 돈이 시중에 풀리고 그 대신 한국은행은 채권을 갖게 됩니다.

    회수 방법으로는 기준금리 인상과 같은 정책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의 효과는

    1. 고금리의 예금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은행으로 돈이 몰려 시중 통화량이 감소한다.

    2. 대출금리도 상승하여 대출이 줄어듦(새로 시중에 풀리는 돈이 줄어듦)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8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는 금리인상, 재정지출 축소 시중에 국공채를 매도하는 방법을 통해 시중에 푼 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