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과학자들은 왜 극지방을 연구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남극은 연평균온도가 영하23도, 평균 얼음두께 2160m로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곳이잖아요~ 그런 극지방을 과학자들은 왜 연구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극지방을 연구함에 따라 여러 기후변화와 관련된 것들을 연구할수도 있습니다! 극지방은 지구 기후 변화의 초기 경고 시스템역할을 하는데 이에 북극과 남극의 얼음을 통해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과정은 극지방에서의 변화가 전 지구적인 변화를 예측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남극과 그린란드의 빙하는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빙하가 녹아 해수로 흘러들어가게 되면 전세계적으로 해수면을 상승하기에 빙하의 변화를 이해하는것은 중요하기도 하지요! 남극의 얼음층은 수백만년에 걸친 지구의 기후 변화를 기록하고 있고 빙하 코어 샘플 등을 분석하면 과거의 기후 조건, 대기 조성, 화산 활동 등을 알아낼수 있으며 남극 대륙은 고대 생물의 화석을 포함하여 지구의 생명 역사와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장소이기도 하죠! 또 극지역의 해양생태계는 독특하고 풍부한 생물의 다양성을 가지며 해양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게 합니다! 극지방의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생명체들의 연구는 생존 전략을 연구하기에도 좋으며 극지방의 오존층을 연구하게 되면 오존층의 구멍 등과 같은 여러 단서들을 알아낼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