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은 왜 파랗게만 보이는 건가요?
탤레비전에서 다이버들이 바닷속에서 스킨 스쿠버를 하는 모습을 보면 바닷속의 빛깔이 알록달록해서 정말 색채가 화려하고 아름다운데 실제로 바닷속에 들어가보면 파랗게만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빛의 파장 중에 파란색 빛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늘과 바다는 파란색을 띠기 되는 것 입니다. 하지만 파란색의 정도는 바다 밑에 지형이나 기타 환경적인 요인으로 색상이 다소 상이하니 이 점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경우 파장이 긴 색의 계열은 투과되고, 나머지 파장이 짧은 계열의 색상은 잘 투과되지 않는데 이게 주로 파란색이며 이 색이 표면으로 반사되어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속의 빛깔이 파랗게만 보이는 이유는 물의 성질 때문입니다. 물은 태양빛을 흡수하는데, 그중에서도 파란색 빛을 가장 잘 흡수합니다. 따라서 바닷속에서는 파란색 빛만 남고 다른 색깔의 빛은 흡수되어 사라집니다 텔레비전에서 바닷속의 빛깔이 알록달록하게 보이는 이유는 수중 카메라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수중 카메라는 파란색 빛을 제외한 다른 색깔의 빛을 보정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 따라서 텔레비전에서 바닷속의 빛깔이 알록달록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광선이 하늘의 공기입자나 바다의 물입자와 부딪히게 되면 산란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백색 태양광선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여러 빛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파장이 길면 길수록 붉은 빛이 되고 짧으면 짧을수록 푸른 빛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산란현상은 파장이 짧은 빛, 즉 파란색 빛에서 잘 일어난다는 사실입니다. 바다나 호수가 푸른빛을 띠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파란 이유는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은 투과가 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산란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산란은 물 분자와 빛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의 경로가 뒤틀리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파란 빛이 물분자에 산란되어 여기저기 튀다가 수면밖으로 나와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빛을 일부 흡수합니다. 특히 빨간색과 주황색 같은 긴 파장의 빛이 물에 가장 강하게 흡수되는 반면, 파란색과 초록색 같은 짧은 파장의 빛은 물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흡수됩니다. 그 결과, 빛이 물 속을 통과할 때 파란색 빛이 더 많이 남아있게 되어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물 속에서 빛은 입사한 후 물 분자와 작은 입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산란됩니다. 이 산란은 주로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에 적용되며, 주변에 빛을 퍼뜨리는 효과를 줍니다. 이로 인해 물 속에서는 파란색 빛이 우세하게 산란되므로 우리에게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색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은 태양빛을 바다가 흡수해서 제일 늦게 흡수되는 파란색이 보이는 것입니다. 바다 표면에서 부터 파장이 긴 빨간색이 흡수되고 그 다음에 황색이 흡수되고 더 깊은 곳에 가야지만 파란색이 흡수됩니다. 따라서 가장 늦게 흡수되는 파란색이 산란되면서 우리눈으로는 파란색이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에 포함된 각종 입자들에 의한 빛반사 및 산란이 다르기 때문에 바다는 여러가지 색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순수한 물은 무색이지만 바닷물의 색깔은 빛의 산란 현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바다에서 빛은 대개 수심 10m 내외에서 모두 흡수되는데, 바닷물은 빛의 스펙트럼 중 파장이 긴 빨간색부터 주황색, 초록색, 파란색 순으로 흡수합니다.
따라서 가장 마지막으로 흡수되는 빛의 색이 바로 파란색 계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바닷물이 파란색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