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도덕적인말똥구리53
도덕적인말똥구리53

현재는 슈링크 플레이션인가요?

휴대폰비, 통신료, 자동차 3년 대비 엄청 오르긴했습니다.

용량을 줄인다던가 내구재를 뺀다던가


대부분의 전자제품이나 일반 제품도 가격이 매우 오른 상태에서 할인을 엄청 치는 경우가 많은데 슈링크플레이션이라고 표현해도 괜찮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이란 중량을 줄이거나 품질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을 상대로 품질을 조금씩 낮추어 생산하면서 생산원가를 낮추는 행위를 의미하는데요. 하지만 물건의 가격이 오른 상태에서 단순하게 할인을 많이 해준다고 해서 슈링크플레이션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기는 어려운점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업들의 제품가격이 상승한 것은 최근 원자재 매입가격상승과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서 생산원가 자체가 상승했기 때문에 이 원가가 반영되어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소비자들이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소비를 줄이기 시작하다보니 생산했던 제품이 시간이 지나게 되면 '악성재고'가 되어버리니 할인을 해서라도 팔아야지 현금을 회수하고 새로운 제품을 생산할 자금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할인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슈링크 플레이션이라고 표현하려면 가격은 동일한 상태에서 중량을 속이거나 품질을 낮추는 행위가 발각 되었을 때 슈링크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게 더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질문자님 말씀대로 가격은 올리지 않고 용량을 줄이는 정책이는 이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현재 가격이 매우 오른 상태에서 가격을 내리는 것은 어떻게 보면 슈링크플레이션이라기 보다 경기침체 대비한 재고자산 처리를 위한 정책으로 생각하시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국내의 몇몇 기업들은 슈링크플레이션 전략을 상당히 많이 사용하였고

      현재에도 그렇다고 보기때문에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슈링크플레이션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기업이 판매량을 유지하고 비용을 줄여 영업마진과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합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가격을 직접 인상하는 대안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슈링크플레이션보다는 스키밍 가격전략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