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목표 경제 지표가 나온다면 기준금리를 유지하는게 일반적인가요?

오랫동안 이어지던 저금리를 깨고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여러 지표가 안정적이기에 현재와 같은 고금리 체제를 갈 수 있다는 기사가 나오던데요. 목표 경제 지표가 나온다면 기준금리를 유지하는게 일반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목표 경제 지표가 나오게 되면기준 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표 경제 지표가 나온다는 것은 경제가 잘 굴러간다는 것이기에

    궂이 금리를 올리거나 낮추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내리는 큰 이유중 하나가 경기가 안좋을걸 개선하는 것입니다. 금리를 낮추게 되면 저축매력도가 떨어지고, 대출내기 쉬워지고, 기존 대출이자금액이 낮아져 주머니 사정이 나아질수 있습니다. 그럼 이 돈들이 소비로 갈수 있습니다. 소비로 가면 기업이 돈을 벌고 번돈으로 고용늘리고, 고용된 사람들은 또 소비를 하고 이렇게 경제 선순환이 되는걸 기대하는 것입니다.

    근데 지표가 지금 고용도 괜찮고, 물가는 생각보다 덜 낮아졌으면 굳이 지금 금리 낮출 필요없습니다. 이런식으로 지표 보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았거나, 앞으로 다시 상승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선제적으로 고금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열된 자산 시장을 안정시키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금리를 유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목표 경제 지표 달성은 금리 결정의 중요한 요인이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며, 다양한 경제 상황과 정책 목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금리 정책이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지표가 목표 수준에 도달하면 중앙은행은 그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경제 과열이나 침체를 방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과 물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의 가장 큰 변수가 환율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가게 대출이나 소상공인이 어려운 것보다 급한 것을 현 정부에서는 무역수지와 환율 맞추기로 볼 것 같은데요 외부 변수대로 따라갈 거라 보입니다

  • 꼭 그런 것은 아닙니다. 물가지표가 예상치와 부합하게 나왔다고 하더라도 향후 물가 예상 진화 물가 흐름 고용지표 등 여러 가지. 지표들을 비교하고 예측해서 금리를 결정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기준금리에 따라서

    실물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주기에

    이러한 금리결정은 최소화하는 등 한 것이

    일반적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에서 계획한 목표 경제 지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면, 통화정책인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굳이 통화정책에 손을 대서 경제 지표가 다시 침체 또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생기는 것을 피하고 싶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