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의 갯벌을 자꾸 없애고 간척사업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서해의 갯벌을 자꾸 없애고 간척사업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갯벌이 가지는 자연적 의미와 수익률이 큰것으로 아는데, 제대로 고려되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간척사업은 육지를 확보하고 개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육지 부족한 지역에서는 간척사업을 통해 새로운 토지를 창출하여 땅을 확보하고, 주거, 상업, 산업 등의 용도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간척사업은 경제적인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항구, 해상 물류센터, 산업단지 등을 건설하여 경제적인 활동을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자연보호보다는 경제적 목적으로 갯벌보단 간척사업을 택하는듯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남건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기회비용의 차이이겠죠. 사실 동해는 간척을 할 수 없는 구조다 보니 서해로 눈을 돌릴 수 밖에 없는데 간척을 통한 토지 활용이 갯벌의 활용보다 경제적 가치가 높으니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따라 진행됩니다.
다만 환경영향이라는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면 그 가치와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무엇이 더 낫다는 말을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우리나라가 간척사업을 활발히 할 때는 산지라는 지형때문에 적었던 식량과 공업지역을 얻기 위함이 컸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갯벌을 간척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이득때문입니다. 간척사업을 통해 얻은 땅은 소유관계가 없기에 대규모 개발단지 등으로 이용하기 쉽기 때문에 기업과 정부는 간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형성된 공업단지는 새만금방조제를 통한 새만금 산업단지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땅이 적어서 갯벌을 메꾸어 사람이 살기좋게 농경지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호수나 바닷가를 둘러막고 물을 빼 만들어 인위적으로 개발해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 갯벌은 쓸모없는 땅이나 유휴지로 생각되었습니다 .
그러한 이유로 갯벌을 밀고 간척사업을 많이 했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같은 시대에 간척의 이로움이 널리 퍼지고 있는상황에서 간척사업을 하지는 않고 있구요, 반대로 역간첩사업이라고 갯벌을 보호 확장하려는 사업이 오히려 이루어 지고 있는 시기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