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5.16

우리나라에서 독을 가진 개구리는 어떤 개구리가 있나요?

남미나 열대우림에 사는 개구리 중에서는 피부에 맹독이 있어서 위험한 개구리가 많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독을 가진 개구리는 어떤 개구리가 있으며, 독성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의 독개구리는 대표적으로 무당개구리가 있고 독성은 그렇게 강하지 않아서 점막에 닿는경우 피부발진이나 가려움증정도로 끝난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에는 두꺼비와 물두꺼비, 무당개구리가 독을 가지고 있는 개구리로 분류되고 인간에 대한 독성은 독에 닿으면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정도라고 합니다.


  • 국내에 서식하는 개구리 중에는 남미의 독성 개구리와 같은 맹독을 가진 종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국내의 개구리들은 독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아주 약한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종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국내에 독을 가진 개구리목 개체로는 두꺼비가 있습니다. 두꺼비는 피부에 약간의 독성 물질을 분비할 수 있으며, 이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에게는 큰 해를 끼치지 않지만 입이나 상처가 있는 피부에 접촉할 경우 약간의 통증이나 과민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는 독개구리가 거의 없으며 가장 흔한것이 무당개구리이며 천적의 위협을 받으면 배를 까고 죽은척위장하며 이때 피부에서 독액이 나옵니다. 사람에게는 거의 무해하며 예민한 사람의 경우 약간의 따가움 정도를 느낍니다.


  • 우리나라에는 개구리목에 속하는 맹꽁이과와 두꺼비과의 생물들까지 모두 포함하면, 총 15종의 개구리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무당개구리와 옴개구리, 두꺼비, 물두꺼비는 피부에 독성물질을 분비하는 독개구리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독화살개구리만큼의 치명적인 독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며, 무당개구리의 경우에는 인간이 점막 등에 독액이 닿으면 가려움 등이 생길 수 있으나, 그 외에 해를 끼지진 않는다고 합니다.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독을 지닌 대표적인 개구리로는 무당개구리, 그리고 개구리는 아니지만 두꺼비류가 있습니다. 무당개구리는 피부 표면에서 독액이 나오는데 사람에게는 가려움 유발 정도의 약한 독성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두꺼비의 피부 독은 사람이 먹을 경우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을 정도로 강한 독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