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모래가 번개를 맞으면 어떻게 유리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사막에서는 간간히 모래가 번개를 맞게 되면 유리가 된다고 하던데요

그렇다면 번개로 인해서 어떻게 유리가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사막에서 모래에 번개가 덜어지만 유리가 되는 현상이 실제로 존재합니다. 번개의 어네지는 언청난 고온입니다 짧은순간에 수천에서 수만 볼트의 전기에너지를 딸아 전달하죠! 사막의 모래는 석영선분이고 고온에서 녹아 유리처럼 될수 있습니다.이런과정에서 만들어지는 ㅇ리는 지렁이처럼 구불한 유리관 모양이 된다고 실제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번개가 치면 엄청 높은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노래의 성분인 이산화 규소가 녹은 후 순식간에 다시 굳으면서 유리처럼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사막의 모래는 주로 이산화규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번개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수천도 이상의 고온이 모래를 순간적으로 녹입니다 녹은 규소가 빠르게 식으면서 결정화되지 않고 비정질 구조를 가지는 유리가 형성됩니다 이 과정은 매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며 번개의 경로를 따라 뿌리 모양의 유리 구조물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 현상은 섬전암 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연적으로 유리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말하며 번개 모래에 떨어질 경우 매우 높은 온도를 통해 순간적으로 모래가 녹아 융합되어 냉각됨에 따라 유리 구조로 남게 됩니다. 또한 번개의 유형이나 세기 및 모래의 상태에 따라 유리 크기 및 색상, 길이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