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8.29

장례식 조의금 문화는 어떻게 처음 유래된 건가요??

장례식장에 가면 조의금을 내는 데요. 당사자가 죽음으로 인해서 남아 있는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서 내기 시작한건가요??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 건가요?? 장례식 조의금 문화는 어떻게 처음 유래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장례식장에서 조의금을 내는 문화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풍습인 상부상조에서 유래했습니다. 상부상조는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예전에는 혼례나 장례 등 큰일을 치를 때 곡식, 술 등 물품이나 노동력을 십시일반으로 모아 도움을 주었습니다.

    조의금은 이러한 상부상조의 정신을 바탕으로,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고 유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내는 금액입니다. 처음에는 곡식, 쌀, 돼지, 닭 등 물품으로 냈으나, 점차 현금으로 바뀌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부조금은 우리 고유의 풍속인 상부상조에서 유래했습니다. 지연이나 혈연 등을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품앗이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예전엔 혼례나 장례 등 큰일을 치를 때 곡식ㆍ술 등 물품이나 노동력으로 십시일반으로 힘을 보탰습니다

    한데 현대에 들어 현금이 보편화되면서 그 본질이 달라졌습니다. 이제는 형편에 따라 현물이나 자신의 몸으로 마음을 표현하지 않고 돈을 봉투에 넣어 건네거나 계좌이체 하는 게 당연한 일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