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로로
뽀로로23.09.03

비가 오는 구름은 색이 왜 어두운건가요?

비가 오는 날의 구름은 먹구름이라고 해서 하늘이 흐리고 구름 색이 시커멓게 보이는데요.

구름 색이 어둡게 보이는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부의 수증기 양이 증가할수록 빛이 투과 되거나 반사되는 양이 줄어듦에 따라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이 때문에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 부을 것 같은 먹구름이 검게 보이는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구름은 일반적으로 두꺼운 구름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름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빛을 흡수하고 흩뿌리는 능력이 높습니다. 따라서 빛이 구름 내부에서 여러 번 반사되고 산란되면서 구름이 어두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방울은 빛을 산란 시키기도 하지만, 동시에 빛을 흡수하기도 합니다. 구름의 두께가 얇을 때는 빛의 산란과 흡수의 양이 적기 때문에 하얗게 보이지만, 구름이 두꺼울수록 물방울이 더 많이 산란과 흡수가 되면서 빛이 감쇠가 되어 구름의 아랫부분은 햇빛이 닿지 않아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아무리 강한 햇볕이 내리쬐어도 수심이 깊은 물속은 밤처럼 어두운 깊은 바닷속과 같이, 구름도 마찬가지로 두께가 두꺼울수록 빛이 닿지 못해서 어두운 색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구름의 바닥이 어두워지면 비가 내리기 쉽다는 신호라고 볼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어둡게 보이는 이유는 구름의 두께 때문입니다.

    얇은 구름은 빛의 산란과 흡수의 양이 적기 때문에 밝은 하얀색으로 보이지만 두꺼운 구름은 통과하는 빛의 산란과 흡수가 많아서 구름 아래까지 가는 빛의 양이 적어지며 아래쪽에서 볼 때는 어두운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날의 구름이 어둡게 보이는 것은 주로 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과 빛의 상호 작용 결과입니다. 이 현상의 주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물방울의 산란: 비를 내리게 하는 구름 안에는 작은 물방울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물방울은 빛을 산란시킵니다. 산란은 빛이 물방울을 만나면 다양한 방향으로 흩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2. 다채로운 빛의 산란: 물방울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및 보라색과 같은 다양한 빛을 다른 각도로 산란시킵니다. 이것은 레인보우와 같은 현상의 기초가 됩니다.

    3. 구름 내 흡수: 비오는 날의 구름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물방울은 빛의 일부를 흡수합니다. 특히 짧은 파장의 빛(파란색 및 초록색)은 수분에 민감하게 흡수되므로 이 색상들은 비가 오는 날의 구름 안에서 더욱 약해집니다.

    4. 물방울 간 상호 작용: 물방울 사이에는 빛이 반사, 굴절, 간섭 및 다수의 산란 현상을 통해 상호 작용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빛을 더욱 분산시키고 여러 각도에서 빛을 산란시키는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비오는 날의 구름은 구름 내의 물방울이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산란시키고, 물방울 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구름이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또한 파란색 및 초록색의 빛이 흡수되고 분산되므로 하늘과 구름이 회색 또는 어두운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3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 구름이 어두운 이유는 물방울의 밀도와 크기, 그리고 구름의 두께 때문입니다.

    구름은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런 입자들은 햇빛을 반사하고 산란시키며, 우리가 보기에 구름은 보통 밝아 보입니다. 하지만 비를 내리는 구름은 일반적으로 매우 높고 넓으며, 수많은 크고 작은 물방울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햇빛은 수많은 물방울에 의해 계속해서 산란되고 흡수됩니다. 따라서 구름의 깊숙한 부분으로 들어갈수록 점점 더 많은 빛이 흡수되어 그 부분이 어둡게 보입니다.

    구름 자체도 비교적 크기가 크므로, 구름을 관찰하는 위치에서 볼 때 바닥 부분(즉, 지표면에 가까운 부분)과 비교하여 상단부(즉, 태양에 가까운 부분)에서 온다는 실제 태양광 선량이 많습니다. 따라서 바닥 부분이 상대적으로 어두워 보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비를 내리는 구름의 깊이와 안에 있는 방대한 수의 물방울들 때문에 그것들을 관찰하는 사람들에게는 비구름이 어둡게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구름 색이 어둡게 보이는 원리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빛은 물체에 부딪히면 다양한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산란이라고 합니다. 빛은 파장이 짧을수록 더 많이 산란됩니다.

    하늘이 푸른 이유는 대기 중의 미세한 공기 분자가 태양의 푸른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붉은 빛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공기 분자에 의해 덜 산란되어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비가 오는 날의 구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방울은 공기 분자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푸른 빛뿐만 아니라 붉은 빛도 많이 산란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은 하늘보다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또한, 비가 오는 날의 구름은 물방울이 많기 때문에 빛이 통과하는 양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구름은 더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구름 색이 어둡게 보이는 정도는 구름의 밀도와 높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름의 밀도가 높고 높이가 낮을수록, 구름은 더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