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호수는 얼지만 바닷물은 잘 얼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일반 호수나 강은 겨울에 온도가 내려가면 표면이 얼음으로 변합니다. 그런데 바다는 왜 표면에 살얼음도 생기지 않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북극의 얼음은 바다가 언것이 아닌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염분과 바다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지요~ 호수나 강의 물은 대부분 민물인데 염분이 없기에 어는점이 0도입니다. 그래서 겨울철 기온이 0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호수나 강의 표면이 얼게 됩니다. 물은 차가워질수록 밀도가 높아지다가 약 4도에서 밀도가 최대가 되게 되는데 그 후 더 차가워지면 물의 밀도가 다시 낮아지게 되면서 차가운 물이 표면으로 올라오고 표면이 먼저 얼게 되면서 쉽게 얼게 되는것이지요. 바닷물은 염분으로 인하여 쉽게 얼지 않게 되는데 어는점이 염분으로 인하여 물보다 낮게 되며 일반적으로 바닷물이ㅡ 어는점은 -1.8도로 알려져 있기에 기온이 훨씬 더 낮아져야 합니다. 바다는 해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며 물을 이동시키게 하며 이렇ㄴ 흐름은 바닷물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돕고 바다 표면이 쉽게 얼지 않게 도와주게 됩니다. 물이 차가워지게 되더라도 해류가 그 물을 깊은 곳으로 보내고 더 따뜻한 물이 표면으로 올라오면서 얼ㅇ므이 생기기 어려워지게 되는거싱지요. 북극과 남극에서 볼 수 있는 얼음은 대부분 바다가 언것이며 북극의 얼음은 바닷물이 -1.8도 이하로 냉각되면서 얼어붙은것이빈다. 북극의 빙하나 남극 대륙에서 만들어진 빙하는 민물이 얼어붙은것이며 대륙이나 육지에서 형성된 후 바다로 떠내려 오게 되는거싱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