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중국환율은 고정인가요? 나라에서 정해버리나요?

우리나라와 같은 일반적인 개방국가들은 환율이 시장에 맡겨집니다. 그런데 중국은 폐쇄적으로 관리한다 들었어요. 거의 마음대로 적용한다는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경우에는 IMF에서 분류하기에는 수평밴드 페그제라고 하여서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의 중간단계의 환율제도를 선택하여 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평밴드 페그제라는 것은 단기적인 변동 범위를 지정하는 환율제도를 말하는 것입니다.

    다만 미국은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였는데, 이는 중국이 환율 조작을 하여 이익을 보고 있다고 하였기 때문입니다. 미국이 지적한 환율 조작의 근거는 3가지로서 다음과 같습니다.

    • 연간 GDP 2% 초과 규모의 외환을 8개월 이상 매입하는 중국정부의 시장 개입

    • GDP 3%를 넘는 경상수지 흑자의 기록

    • 200억달러를 초과하고 있는 미국과의 무역관계 흑자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환율제도는 정부주도로 이뤄지는 환율관리 변동환율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위앤화대 미국 달러 환율을 고정 환율제로 운영했으나 중국 정부는 2008년 7월 이후 미 달러화에 대하여 고정되어 온 위안화 가치를 포기하고 다시 관리변동환율제로 복귀했습니다. 다만 2020년 8월 이후 위안화 환율지수(CFETS)가 지속 상승하는 등 중국 외환당국이 위안화 강세를 유지하려는 장기적인 정책의지를 가지고 개입하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등으로 이러한 지속적인 위앤화 강세현상은 지속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환율제도는 중앙정부가 환율을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1994년 이전에는 이중환율제도를 채택하여 수출입 기업이 환전시에는 공식환율로 환전하고, 일반인은 비공식환율로 환전하는 방식을 취했습니다.

    그러나 1994년 이후부터 중앙정부가 환율을 관리하기 시작하면서 단일환율제도를 채택하였습니다. 현재 중국은 위안화를 기준으로 환율을 관리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위안화의 환율을 조정하여 수출입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