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중국은 환율이 고정인가요? 변동하지않나요?

제가 듣기로는 중국환율은 고정환율이라 들었습니다. 맞나요? 근데 만약 고정이라면 무역상대국들은 이를 그냥 받아들이나요? 너무 자국에만 유리하게 하는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환율제도는 과거에 고정환율제를 따랐지만, 2005년부터는 유동적인 요소를 도입한 '관리적 유동환율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인민은행이 일정 범위 내에서 환율의 변동을 허용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을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중국의 경제 상황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무역 상대국들로부터는 비판의 대상이 되곤 합니다. 특히 중국이 자국 화폐인 위안화의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춰 자국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곤 합니다.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중국은 점차 환율제도를 개선해왔고, 현재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결정되는 요소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의 환율 정책은 국제 사회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중국은 중국 당국이 인위적으로 환율을 관리하는 '관리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일종의 '준고정환율제'라 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외국 자본에 대한 통제 등을 위해 당국이 환율을 관리하고 있는 것인데, 언젠가는 자유변동환율로 전환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은 1978년 개방정책을 도입한 이후 1993년까지 이중환율 제도를 채택하면서 단계적으로 위안화를 절하했다.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무역 거래와 비무역 거래에 적용하는 환율을 다르게 책정했던 것이다. 이 시기에 위안화는 1980년 초 달러당 1.50위안에서 1993년말 5.82위안으로 288% 절하됐다. 이후 중국은 1994년에 환율을 단일화하면서 관리변동환율제도를 도입했지만 실제로는 고정환율제도와 다름이 없었다. 물론 초기에는 환율을 단일화하면서 공식 환율을 시장 환율에 맞춰 달러당 5.82위안에서 8.72위안으로 49.8% 절하하기도 하였고 1997년 9월까지 위안화가 달러당 8.31위안까지 절상될 때까지 환율의 변동을 용인하였다. 그러나 1997년말 아시아의 외환위기가 발생하면서 위안화에 대한 절하 압력이 거세지자 중국은 오히려 위안화를 달러화에 고정시키는 사실상의 고정환율제도를 운용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환율은 2005년 중반까지 1달러당 8.28위안으로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인민은행은 기준 환율을 최근 역내·역외 시장 환율과 주요국 통화 가치의 묶음인 통화 바스켓을 바탕으로 결정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통화 바스켓이란 달러·유로·원화 등 24개 통화로 구성됩니다.

    고정환율제의 단점은 적자 발생시 외환보유고의 양은 천문학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과 같은 경우에는 관리변동환율제를

    택하고 있는 등 이에 따라서 위안화 가치가 급등락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경우에도 환율은 변화하지만 중국 정부가 환율 시장에 개입을 많이 하다 보니 변동성이 적은 편이에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환율은 기존에는 고정환율제였으나 2005년부터는 시장환율제로 전환되어 현재는 시장에 따라 변동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