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의 '사화'와 '붕당정치'는 현대 정치와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을 시사하는건가요?
조선시대에서는 사화라는 큰 사건이 간간히 일어났었고 붕당정치가 핵심이었는데요 그렇다면 이를 현대정치와 비교한다고 하면 어떤 점을 시사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사화는 성종 이후 3사를 중심으로 사림이 정계로 진출하여 훈구 세력을 견제하였습니다. 그러나 사림은 훈구 세력의 반격에 의해 연산군에서부터 명종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정치적 피해를 당했습니다. 특히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로 대표합니다.
하지만 사림은 선조 때 향약과 서원을 중심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척신정치 청산과 이조전랑직을 놓고 분열되어 동인과 서인으로 붕당을 형성하였습니다.
오늘날 사화처럼 반대파를 폭력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민주정치의 퇴보를 의미합니다. 반면 붕당 정치는 초기 공존 체제를 바탕으로 상호 견제를 통해 공론을 형성하는 것은 오늘날 정당 정치의 모습과 유사합니다. 하지만 숙종 때 환국처럼 상대 붕당을 인정하지 않는 모습은 당리당략만 보여주는 현대 정치의 부정적 측면을 엿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