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가 실물경제에 활용되려면 변동성문제를 잡아야할텐데 이에 대한 계획이 존재하나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블록체인이 존재하기 위해 존재하는 모든 가상화폐들은 가격의 변동성이 커서 현재 실물경제에 사용되는 사례는 극히 일부분인것으로 아는데요 이러한 가상화폐들이 본격적으로 실물경제에 적용되려면 가격의 변동성문제를 잡아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가격 변동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계획이나 방안이 존재하나요?
암호화폐의 가치... 즉 시세는 시장에서 정하게됩니다.
그러한 변동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면 그것은 법정 통화와 다를바가 없게되겠죠.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장치를 만들지는 않습니다. 다만 변동성으로 인한 실 사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이블 코인이 있는것이죠.
다만 이러한 변동성도 아직 시장 초기인점, 시세가 낮고, 시총이 낮다는 점 때문에 크게 다가오는것이지만, 1비트에 1억이 넘게 되고 시총이 거대해지면 변동성은 더욱 낮아질 수 있습니다. 1비트에 600만원때의 10만원 변동폭과 1억일때의 10만원 변동폭은 차원이 다른것이니까요.
변동성으로 일반적인 지급 결제로 사용하기 어려운점은 있지만 그게 다는 아닙니다. 금값을 보면 지금은 비트 코인에 비해 변동폭이 적게 느껴지겠지만, 금 ETF가 승인된 직후의 변동폭을 보면 지금의 비트코인과 닮아 있습니다. 그러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금을 매입하고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했습니다. 비트 코인을 반드시 실생활에 써야 한다는 생각은 굳이 그럴 필요 없는 고정 관념과 같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되어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에는 수많은 알트를 이용하거나 스테이블 코인을 사용해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