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모기채에 벌래가 닿으면 왜 번개치듯이 스파이크가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여름에 모기때문에 너무힘들어서 모기채 전기로 된거 샀는데요. 전기 모기채에 벌래가 닿으면 왜 번개치듯이 스파이크가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모기채에는 높은 전압이 흐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모기채에 벌레를 잡으면 모기채에 전기가 벌레에 흐르게 되고 그 흐르는 전기에 벌레가 닿으면 순간적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전자가 이동해서 닿으면서 스파크가 발생되는 원리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승식 전문가입니다.
모기채에 전압이 발생시켜 스파크가 번개치듯이 발생합니다. 모기에 전류가 흐르는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스파크는 순간 흐르는 고전압에 의해 절연이 파괴되는데 그 후, 흐르는 순간적인 전류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전기 모기채는 건전지의 저전압을 승압하여 순간 고전압, 저전류를 발생해서 모기를 감전시켜 죽이는 원리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 모기채에 벌레가 닿았을 때 번개처럼 스파크가 튀는 이유는 고전압 방전 현상인데요. 모기채 내부의 금속망에 흐르는 높은 전압이 벌레의 몸을 통해 순간적으로 방전되면서 빛과 소리를 발생시키는겁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진태규 전문가입니다.
전기 모기채는 채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원리입니다. I=V/R이므로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가 증가합니다. 고전압이 걸린상태에서 벌레가 파리채에 붙으면 벌레의 체액으로 전류가 흐르고 벌레가 저항체가 되므로 고열이 발생한 상태에서 공기와 접하면 불꽃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기채 속 그릴에는 고전압이 흐르기 때문에 벌레의 몸이 닿으면 순간적으로 방전되면서 스파크가 발생하게 됩니다.
방전은 아주 빠르고 강하게 일어나기에 탁 하는 소리와 함께 불꽃이 보이며 이는 고온의 플라즈마가 생기는 현상입니다.
전기 모기채는 젖은 손으로 만지지 않고 청소 시에는 금속망을 직접적으로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모기채는 내부에 높은 전압을 걸어두는데 벌레가 닿으면 전극 사이에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며 공기와 체액이 동시에 방전 됩니다 이때 순간적인 고온과 플라즈마 현상이 발생하면서 작은 번개 불꽃과 틱하는 소리가 나는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