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10.15

눈이 오는 날에는 왜 소리가 더 울리지 않는 것인가요?

눈이 온 날에 밖에서 소리를 지르거나 산에서 소리를 지르게 되면 눈이 오지 않았을 때보다 메아리가 작게 들리게 되는데 왜 눈이 오게 되면 소리가 작게 들리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메아리는 소리가 반사 되어 돌아오면서 들리게 됩니다.

    눈이 오거나 대기 중에 이물질이 많이 있으면 이 메아리 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쌓이게 되면 소리가 눈 사이에 흡수됩니다. 따라서 울리는 소리가 적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오는 날에는 소리가 덜 울리는 이유는 눈이 소리를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눈은 공기 중의 소리를 흡수하는 능력이 있어서 소리의 진행을 막거나 감소시킵니다.

    눈은 공기 중의 소리 진동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 결과로 소리의 진행이 막히거나 약해지게 되어 울리는 소리가 더욱 먼 거리까지 전달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보통 매질을 통해서 전달을 합니다. 눈이올때 소리를 지르면 내리는 눈이나 쌓인 눈이 소리의 진동을 상쇄해서 퍼져나가는 소리를 방해하게 되어 더 작게 들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그 결정구조상의 이유로 인해 소리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눈이 오는날에는 좀더 고요하고 조용하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소리를 흡수하는 흡음판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소리는 파장을 가지고 널리 퍼져 나가는데, 이 파장이 눈을 만나면 눈에 흡수되게 됩니다.


    눈은 입자와 입자사이에는 많은 틈이 있고 이것이 흡음판의 구멍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내리는 날에는 공기 중에 눈의 입자들이 떠다니게 됩니다. 눈의 입자들은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소리의 전달을 방해합니다. 눈의 입자가 작을수록, 공기의 진동을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소리가 더 작게 들립니다. 또한, 눈이 내리는 날에는 기압이 낮아지기도 합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 소리의 전달이 더 어려워져 더 작게 들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 결정은 육각형으로 이것이 모여 다양한 입자를 이루고 한 송이의 눈이 됩니다. 눈 입자와 입자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많이 있고 그 틈마다 공기로 채워져 있습니다. 소리, 즉 공기의 진동이 이 틈에 전달되면 그곳의 공기와 충돌하는데, 그러면 소리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고 소리는 사라집니다. 그래서 눈이 내리면 주위가 조용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