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솔직한저빌269
솔직한저빌269

반디불이는어떻게 빛을내는걸까요?

반디불이는어떻게빛을 내는걸까요?

그리보 반비불이가 꽤모이면 길을밝힐정도로 빛을낼수있나요?

도심에세만나고자라서 반디불이는한번도본적이없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너그러운생쥐287입니다.

      반딧불이의 꽁무니에는 루시페린(luciferin)이라고 하는 발광물질이 있습니다.

      이 루시페린은 산소와 만나게 되면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를 통해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로 바뀌면서 빛을 뿜어내는 것입니다.

      반딧불이 한 마리가 내는 불의 밝기는 3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사무실의 밝기가 500럭스이고, 옛날 책들은 지금보다 글씨가 훨씬 크기 때문에 150마리 정도면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계산이 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덕망있는불독137입니다.

      반딧불이는 꽁무니에서 빛을 내는데 이것은 반딧불이의 꽁무니의 배마디에 있는 발광 마디가 빛을 냅니다 수킷은 두마디 암컷은 한마디 있는데요 이곳에 있는 발광세포에 루시페린과 루시페라제라는 성분이 있어 이것이 산소와 만나 산화작용을 일으켜 빛을 내는 것입니다 유충 반딧불이는 자기 스스로 빛을 내어 주변을 경계 하기 위함이고 성충이 핓을 내는 것은 짝을 찾기 위해서 인데요 암컷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하여 거의 암컷 한마리에 수컷 50마리정도가 모여듭니다 수명이 짧아서 자신의 짝을 만나 자순을 낳아야 하는 의무를 마치고 사라집니다 또한 형설지공이라는 고사성어처럼 열심히 노력한 끝에 성공을 했다는 뜻으로 받아주시고 반딧불이를 잡으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금열쇠입니다.

      반딧불의 꼬리 끝에는 루시페린이라는 발광물질이 있어요~

      이 루시페린이 산소와 만나 루시페아라제라는 효소를 통해서 화학 반응으 일어나는데 그게 옥시루시페린이라는 물질로 바뀌면서 빛이 나는 거에요~~

    • 안녕하세요. 천안무법자입니다.

      어른벌레는 암컷이 크고 수컷이 조금 작다. 수명은 2주 정도로 이슬을 먹고 사는데, 알을 낳고 11∼13일 뒤에는 자연적으로 죽는다. 어른벌레뿐만 아니라 알, 애벌레, 번데기도 빛을 낸다. 반딧불이에는 발광세포가 있어서 그 세포 안에 있는 루시페린이라는 화학물질이 자극을 받으면 활성화되어 루시페라이제라는 화학물질로 변환이 된다. 그 이후 그 루시페라이제가 산소와 만나 산화반응이 일어나면 빛으로 변환이 된다.

    • 안녕하세요. YNRC입니다.

      반딧불이는 마치 야광별처럼 밝은 노란빛을 내며 반짝입니다. 을 만드는 기관의 세포에서 만들어진 루시페린(Luciferin)이라는 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지니고 있습니다